1917년 개천절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해 보급했던 단군영정은 전체가 14.5×20cm, 영정만 11.4×16.4cm 크기의 반신상이다. 정식명칭은 '단군대황조어진'(檀君大皇祖御眞). 기독교인이었던 도산 안창호 선생도 단군상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녔고, 필라델피아에서 대규모 단군집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나운규, 윤동주, 송몽규, 문익환 등을 길러낸 용정의 명동학교는 기독교 계열이지만 교가에 단군의 얼이 그대로 녹아있다.
'흰뫼가 우뚝코 은택이 호대한
한배검이 깃치신 이 터에
그 씨와 크신 뜻 넓히고 기르는
나의 명동'
또 명동학교는 교실마다 예수와 단군의 영정을 나란히 걸어뒀다고 한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명동학교는 보재 이상설이 세운 '서전서숙'이 이상설의 헤이그 특사 파견과 일제의 탄압으로 문을 닫게 되자 이를 계승해 세운 민족학교이기 때문이다.
현재 명동학교 교실에는 윤동주 마네킹이 있다. 마네킹으로 분한 윤동주가 펼친 책은 문학관련 책이 아니라 이상설 편저의 '산술신서' 수학교과서다. 얌전한 문학소년의 이미지가 강한 윤동주지만 수학, 특히 기하학을 좋아했고 축구도 좋아했다고 한다.
안중근의 사상적 스승이자 그가 유일하게 존경한다고 했던 이상설은 근대수학교육의 아버지로도 불린다. 수학, 과학, 법학 등 다방면에 걸친 저서를 남기고 성균관 교수로 동서양의 선진학문에 통달했고 고종의 특사로 헤이그에 파견된 이상설은 이후 대종교 북도본사 책임자로 항일민족운동을 이끌었다. 이런 민족운동가인 이상설의 뜻이 이어진 곳이 바로 이곳 명동학교인 것이다.
명동학교 뒤편에 윤동주 생가가 있다. 명동학교장을 역임한 김약연은 윤동주의 외삼촌이다. 그는 북간도의 대통령이라 불리며 당시 이 지역의 개척자이자 지도자였다. 그는 임종을 앞두고 "나의 행동이 나의 유언이다"라는 묵직한 말을 남겼다. 김약연은 대종교가 주축인 최초의 독립선언서인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9명 중 한 명이다.
이렇듯 일제강점기 초기 기독교인들은 대종교 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단군을 배척하지 않았다. 기독교를 숭상했던 도산 안창호 선생도, 어천절 헌사를 한 우남 이승만도 그랬다.
'대황조의 높은 덕'_ 도산 안창호당시 이승만의 어천절 찬송사는 독립신문 1921년 4월 30일자에 실렸다.
우리 황조 단군께서
태백산에 강림하사
나라집을 건설하여
자손 우리에게 전하셨네
거룩하다 의의탕탕
대황조의 성덕 거룩하다
모든 곤난 무릅쓰고
황무지를 개척하여
의식 거처 편케하여
자손 우리들을 기르셨네
열린 무궁 잊지마세
대황조의 높은 덕 잊지마세
모든 위험 무릎쓰고
약한 짐승 몰아내사
자손 우리들을 보호했네
공덕무량 기념하세
대황조의 큰 공덕 기념하세
착한 도를 세우시고
어진 정사 베풀으사
윤리 도덕 가르쳐서
자손 우리들을 화하셨네
전지무궁 빛내보세
대황조의 높은 교화 빛내보세
형제들아 자매들아
대황조의 자손된 자
우리형제 자매들아
천번 죽고 만번 죽어도
변치마세 변치마세
대황조께 향한 충성 변치마세
"지난 음 3월 15일 어천절 기념식 석상에서 낭독한 이 대통령의 찬송사(讚頌詞)가 左와 如하더라. 온 셰상이 캄캄할 때에 (단군께서) 우리에게 나타나시어 빛과 터와 글을 주시니 알음과 직힘과 행함이 넉넉하엿도다.
(중략)
나아가라신 본 뜻이며 고로어라신 깊은 사랑을 어찌잊을 손가 불초한 승만은 이를 본받아 큰 짐을 메이고 연약하나마 모으며 나아가 한배의 끼치심을 빛내고 질기과져 하나이다."
글/ 민인홍
법무법인 세종 송무지원실 과장
대종교 총본사 청년회장
민주평통 자문위원(종로구협의회)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