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대전] 눈길 끄는 '신박한' 친환경 제품들

김혜지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4 17:48:58
  • -
  • +
  • 인쇄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2025 ESG친환경대전' 전시장 ©newstree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2025 ESG 친환경대전'은 '지속가능한 전환'을 주제로 다양한 친환경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 439개 전시부스가 빼곡히 들어선 전시장은 자원순환, 포장재 혁신, 친환경 농업 등 일상과 맞닿은 제품과 기술들이 다양하게 소개돼 관람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이 가운데 '신박한' 아이디어로 눈길을 끄는 제품들이 있었다.

◇ 버려지는 쌀로 만든 친환경 소재

▲잉여쌀로 만든 봉투들 ©newstree


'그리코(GRICO)'는 소비되지 못하거나 품질이 떨어진 쌀로 만든 생활용품과 친환경 소재들을 전시했다. 쌀로 만든 식기와 포장재, 플라스틱 대체 소재 등이 눈길을 끌었다. 쌀 분말로 만든 접시·포장용지·봉투는 겉보기엔 일반 플라스틱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사용 후에 자연분해된다.

쌀을 활용해 친환경 소재를 만드는 것은 이미 활용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쌀로 만든 종량제봉투를 보급하고 있고, 쌀로 만든 포장재와 생활용품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도 여럿 있다는 게 그리코 관계자의 설명이다. 봉투에서 은은한 누룽지 향이 풍기는 것이 신박해보였다.

그리코 관계자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소비되지 못하는 쌀은 사회적·경제적 문제로 이어진다"며 "잉여 곡물을 새로운 자원으로 전환시켜 환경과 사회 모두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리코는 "버려질 뻔한 쌀도 다시 자원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통해 자원순환이 곧 지속가능한 미래라는 것을 보여주겠다는 포부다.

◇ 스티로폼 대체하는 친환경 보냉박스

▲방수기능과 보냉 역할을 하는 박스 ©newstree


포장재 혁신으로 주목받은 기업도 있다. 포장을 뜯는 즉시 쓰레기로 변하는 포장재를 줄이는 것은 친환경의 출발점이자 자원순환의 척도이기 때문이다. '비오엑스'는 테이프 없이 조립되는 방수 골판지 박스와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친환경 보냉 박스를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비오엑스는 "포장재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방수 골판지 박스는 테이프가 필요없어 분리배출이 쉽고, 물에 젖어도 쉽게 무너지지 않는 내구성을 갖췄다. 종이 포장재가 약하다는 인식을 뒤집는 제품이다.

이 회사의 친환경 보냉박스도 종이로 만들었지만 보냉력만큼은 짱짱하다고 한다. 비오엑스는 "스티로폼은 단열성이 뛰어나지만 분해가 어려워 환경 부담이 크다"며 "우리의 보냉박스는 종이로 제작됐기 때문에 사용 후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보냉 성능을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 성분이 잔류하지 않는 친환경 농약

▲친환경 농업용 소독제 '옥케이' ©newstree


포어스는 농업용 친환경 소독제 '옥케이(OK-K)'로 주목을 받았다. 환경에 해를 덜주면서 살균효과를 낼 수 있는 제품이기 때문이다. 과산화초산(PAA)을 주성분으로 하는 '옥케이'는 사용 후 물과 산소, 초산으로 분해돼 잔류물이 남지 않는 생분해성 제품이다. 기존 농업용 소독제가 토양과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과 달리, 이 제품은 농가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포어스는 강조했다.

전시부스에서는 채소 재배 과정에서 토양 내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작물 생장에는 해가 되지 않는 결과가 확인된 사례를 설명해놓기 했다. 포어스 관계자는 "농업 분야의 ESG 전환은 화학물질을 줄이고, 안전한 먹거리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데서 시작된다"며 "옥케이는 농가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소독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잉여쌀로 새로운 자원을 만드는 시도에서부터, 불필요한 포장재를 줄이는 혁신 그리고 환경 부담을 덜어낸 소독제까지. ESG 친환경대전은 신박하지만 실현 가능한 해법들이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음을 보여주었다. 작은 물건 하나, 소독제 한 병이 모여 지속가능한 미래로 이어진다는 메시지가 전시장에 울려 퍼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아름다운가게, 돌봄 공백에 놓은 아동·청소년 돕는다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재단법인 서울시복지재단, 사단법인 피스모모와 함께 13일 협약식을 갖고 '가족돌봄아동·청소년 연결 및 지원사업-함께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기후/환경

+

5년내 화석연료 종말?...IEA "재생에너지로 공급체계 대전환 궤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공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5년 내에 화석연료 시대가 사실상 종말을 맞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2일(현지시간) 국

[COP30] 年 1.3조달러 누가 낼건데?...기후재원 논의 본격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연간 1조3000억달러 기후대응 재원(NCQG)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를 놓고 본

이대로면 지구 2.6℃ 오른다...화석연료 배출량도 '최고치'

지금 추세대로 가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2.6℃까지 오를 것이라는 섬뜩한 전망이 나왔다.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이 13일 발간

20억명이 화석연료 매연에 노출..."석탄·석유 시설 5km 이내 거주"

전세계 인구의 25%가 화석연료 시설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전세계 인구의 25%에 달하는 20억명이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생산시설로부터

[COP30] 기후관련 가짜뉴스 근절한다...'정보 무결성 선언' 첫 채택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정보 조작과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정보 무결성 선언'이 처음으로 채택됐다.12일(현지시간)

[COP30] 인도, EU 탄소국경세에 맹폭…"기후정책 가장한 보호무역"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인도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CBAM)를 공개비판하면서 이 문제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