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일부터 공식 출범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공식 출범식을 열고,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본격적인 여정을 알렸다. 출범식에는 김성환 장관을 비롯해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산하기관장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됐던 김성환 장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초대장관이 됐다. 김성환 장관은 출범사에서 "앞으로의 5년이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최적의 시기(골든타임)"라고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탈탄소 전환을 향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겠다"고 천명했다.
또 김 장관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체계를 대전환하고, 전기차․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탄소중립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것을 약속했다. 이밖에 김성환 장관은 극한 이상기후에도 국민 안전에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기후 안전망을 구축하는 한편, 깨끗한 물과 푸른 하늘을 비롯해 풍요로운 자연환경 및 화학안전 등 앞으로도 고품질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강조했다.
이번 출범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효율 혁신, △맑은 공기·깨끗한 물·건강한 생태계 보전 등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분야를 통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앞으로 국민과 소통하며, 대한민국이 전세계의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을 견인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