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불청객은 황사뿐만이 아니었다. 국내 초미세먼지의 절반 이상도 중국에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 2~3월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국내외 전문가들과 진행한 '아시아 대기질 공동조사'(ASIA-AQ)에서 국내 초미세먼지(PM2.5) 55%가 중국에서 유입됐으며, 국내에서 발생한 것은 29%였다고 9일 밝혔다.
연구진은 7개 대기화학 수송모델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국내 초미세먼지 발원지가 대부분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국내 초미세먼지 36~71%는 중국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평균하면 55%에 달했다. 지난해 중국에서 초미세먼지가 날아오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나라 대기가 청정했던 2월 15일부터 3월 2일이었다.
연구진은 국내 대기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지도 낮지도 않았던 시기에 중국발 유입율이 약 60%에 달했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한반도 초미세먼지 농도는 국외 영향이 절대적으로 크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 비중은 16~43%로, 조사 기간 평균은 29%였다.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았고, 중국에서 들어온 것도 아닌 미세먼지의 비중도 21%가량 달했다.
연구진은 "겨울철 국내 초미세먼지 대부분이 중국에서 날아온 것이라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며 "향후 중국과 오염감축을 위한 외교협상을 진행할 때 주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한국과 중국 모두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는 추세다. 한국의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는 15.6㎍/㎥로, 2016년 26㎍/㎥에 비해 40% 낮아졌다. 중국은 전국 339개 도시 2023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30㎍/㎥로, 2016년 47㎍/㎥보다 36% 옅어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