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도 못하는 코팅폐지들 '수첩'으로 재탄생하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0-12-21 17:50:43
  • -
  • +
  • 인쇄
전미희 스페이스브리즈 대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미래"
비닐로 코팅돼 있어서 재활용할 수 없는 전단지나 안내지, 엽서 등을 모아 예쁜 수첩을 만드는 곳이 있다. 사실 일반 종이로 수첩을 만드는 것보다 코팅된 폐지를 재가공해서 수첩을 만드는 비용이 더 비싸다. 그런데도 이런 무모한(?) 짓을 하는 사람은 바로 '스페이스브리즈'의 전미희 대표.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만난 전미희 대표는 제작비용을 묻자 "폐지를 가공해서 수첩을 만드는 게 비용이 더 많이 들긴 하죠"라며 "그러나 환경이 파괴돼 더이상 지구에 살 수 없게 되면 수익성이 무슨 의미겠어요?"라고 반문한다.

사실 전 대표가 처음부터 폐지 재활용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전 대표는 "2019년 5월 호주에서 돌아와 '스페이스브리즈' 스튜디오를 세웠다"며 "스튜디오에서 디자인 작업을 하면서 쌓이는 인쇄물이나 편집물을 보면서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든 것이 업사이클 문구제품 만들기의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전시회나 관광지의 브로슈어, 패키지, 엽서 등 폐지로 쉽게 버려지는 종이 중에는 코팅이 돼 있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폐지로도 팔 수 없는 이런 인쇄물들을 모아 소품과 문구류를 만들기 시작했다는 전 대표는 "직접 만든 재활용 소품이나 문구류를 스튜디오 방문객들에게 팔았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았다"며 웃었다.

이에 자신감을 얻은 전 대표는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스튜디오도 알리자는 차원에서 '커먼 페이퍼 프로젝트'(common paper project)를 시작했다고. 그는 내친 김에 이 프로젝트를 업사이클 문구류의 브랜드로 키워볼 생각이다. 이번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common paper project'를 전시장 전면에 내세운 이유이기도 하다.

▲스페이스브리즈에서 폐지를 모아 만든 수첩


우리나라에서 한해 소비되는 종이는 약 800만톤. 30년 자란 나무 1억그루가 있어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종이는 나무를 이용해 만들기 때문에 흔히 친환경 소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종이를 생산하고 운반하는 과정은 비닐보다 더 많은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을 발생시킨다. 종이봉지를 세번 재활용하는 것과 비닐봉지를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같다고 한다.

전 대표는 "종이 사용량을 줄이려면 먼저 종이 영수증부터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종이영수증 발급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는 1079톤에 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2641톤에 이른다. 20년산 소나무 94만3119그루를 심어야 줄일 수 있는 양이다. 그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시스템이 충돌없이 쓰일 수 있는 부분통합이 필요하다"며 "간편결제시스템 이용량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되면 전자영수증 발행을 통해 종이 영수증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 대표는 현재 'breeze to breeze' 프로젝트도 진행중이다. 버려지는 몰탈(시멘트, 콘트리트원료)을 사용해 발향체를 만들고, 발향체 안에 담길 디퓨저 용액을 연구하고 있다. 'breeze to breeze'의 발향체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 대표는 "앞으로의 디자인은 지속가능성과 어떤 미래를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수"라며 "그런 고민을 조금이라도 일찍 시작하는 책임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이어 "디자이너가 만든 제품이 어떻게 버려지고 어떻게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가를 생각하지 않으면서 소비자에게 환경과 자원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다"며 "자연과 환경, 기후변화 등의 이슈는 거창한 목표나 사명감이 있어야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우리가 살아가는 평범한 나날의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