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커넥트포럼] 로날드 로만 교수 "탄소제로 수직이착륙기 뜬다"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3 16:52:30
  • -
  • +
  • 인쇄
연료 대신 배터리 이용…친환경 교통수단
"활주로도 필요 없어…교통체증 개선 기대"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부교수 로널드 로만(Ronald G.Roman)은 "전동 수직이착륙기는 미래 기후위기에 대응할 교통수단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newstree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동 수직이착륙기(eVTOL)가 미래의 교통수단이 될 것이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부교수 로널드 로만(Ronald G.Roman)은 23일 뉴스트리와 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ESG커넥트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강조하며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수직 이착륙기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직까지는 개선되어야 할 기술이 많지만 미래에는 아주 혁명적인 교통수단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동 수직 이착륙기는 쉽게 말해 '하늘을 나는 자동차'다. 로만 교수는 "수직 이착륙기는 하늘을 나는 비행기와 달리 탄소를 배출하는 항공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며 "이착륙기에 내제된 배터리만을 이용해 날기 때문에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올해 기준 350개의 기업이 수직 이착륙기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만큼 매우 중요한 사업모델로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의 UAVOS, 독일 릴리움(Lilium German) 등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이착륙기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일본 기업 스즈키(Suzuki)과 일본 드론 제조사 스카이드라이브(SKYDrive)는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연구개발 및 마케팅 분야에 대한 협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2020년 3월 여러 모델의 수직 이착륙기를 선보였다. 

국내에서도 수직 이착륙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도심항공교통(이하 UAM)의 국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23일 김포에서  비행시연 행사를 개최했다. 로만 교수는 "수직 이착륙기가 활성화된다면 김포공항으로 가는 것이 매우 편리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로만 교수는 또 "수직 이착륙기는 도심교통체증을 개선하고 응급환자를 빠르게 이송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며 "또한 비행기처럼 활주로가 필요없고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해 건물 옥상에서 다른 건물 옥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매우 쉽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지리적으로 섬이 많아 수직 이착륙기가 도심지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수직 이착륙기 상용화를 위해 산적한 과제들이 많다. 로만 교수는 "수직 이착륙기는 아직 안전성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해 더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뿐만 아니라 수직 이착륙기 한대당 평균적으로 1억4000만원 정도여서 개인이 교통수단용으로 소장하기에는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과 유럽과 같은 선진국은 수직 이착륙기에 대한 규제가 많아서 이 부분 또한 해결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로만 교수는 "5년안에 수직 이착륙기의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이라며 "수직 이착륙기의 활성화를 통해서 미래세대에 건강한 지구를 물려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이산화탄소로 '일산화탄소' 제조기술 실증성공

SK이노베이션이 전기화학적 촉매 반응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이렇게 생산된 일산화탄소는 다양한 화학제품의 기

우리은행, 수명다한 ATM기 100대 자원순환용으로 기부

우리은행이 올해 수명을 다해 폐기 대상인 자동화기기(ATM) 100대를 자원순환용으로 기부한다.우리은행은 이처럼 내용연수를 경과했거나 폐기 예정인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