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등은 배출이 더 늘어나 감축률 최하위를 기록했다.
28일 뉴스트리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에 참여하는 785개 기관 가운데 기준배출량 50톤 이상 기관만 추려, 공개된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감축률 상·하위 10개'를 비교분석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소규모 기관에서 흔히 발생하는 '감축률 100%' 편향을 제거하고 실제 감축역량이 반영되는 기관으로 범위를 제한한 것으로, 공공부문 내부의 감축 격차와 구조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취지다.
HUG는 목표대비 감축률 94.44%, 양평공사는 89.71%, 기획재정부는 87.91%, 이천시시설관리공단은 75.04%, 한국전력기술은 74.24%를 기록해 감축률 상위에 랭크됐다. 해당 기관들은 고효율 조명·냉난방 교체,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개선, 태양광·지열 등 신재생 설비 도입처럼 시설기반 감축사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신안군(58.37%), 여수시(52.60%)가 각각 1081톤·3614톤을 감축하며 상위권에 올랐다. 특히 여수시는 재생에너지 설비 702곳 설치, 쿨루프(열반사지붕) 27곳 도입, 무공해차 782대 보급 등 도시 차원의 기후·에너지 전환 정책을 통해 1481톤CO₂eq의 외부감축 실적을 별도로 확보한 바 있다. 자체 배출 감축과 외부감축 사업이 동시에 추진되며, 지자체 중에서도 규모 있는 감축 성과를 낸 사례로 평가된다.
반면 감축률이 되레 마이너스를 기록한 기관들도 적지않았다. 배출량이 오히려 늘어난 곳은 보령시시설관리공단(-40%), 목포해양대학교(-36.07%), 한국탄소산업진흥원(-25.62%), 한국벤처투자(-21.31%), IBS(-18.39%), 전라남도교육청(-17.25%) 등이다. 기준배출량보다 순배출량이 더 높아진 '역(逆)감축기관'이다.
연구장비·실험실·대형 냉난방 설비 등 전력 다소비 구조를 가진 기관일수록 감축 여력이 제한적이며, 교육청·지자체는 시설 확충·업무량 증가가 전력수요 증가로 이어지는 구조적 제약을 받았다. IBS·목포해양대처럼 연구·교육 활동이 지속 확장되는 기관은 기본 수요 자체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어 감축률이 낮게 나타났다.
상위 10개 기관의 평균 감축률은 70%를 넘는 반면, 하위 10개 기관 평균 감축률은 -21%을 기록했다. 같은 공공부문 안에서도 감축 여건과 실적의 격차가 극단적으로 벌어졌다. 지자체·공사·정책부처의 일부 기관은 50~90%대 감축을 기록한 반면 연구·교육·산업진흥 기관 상당수는 0% 이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등 부문별 온실가스 구조가 감축 가능성을 사실상 좌우하는 상황이 확인됐다. 현재 목표관리제의 일괄기준이 이러한 이질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럼에도 이번 데이터는 감축이 가능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명확히 보여준다. 상위권 기관들은 설비 개선 중심의 물리적 개입을 통해 구조적 감축을 이뤄냈고, 여수시처럼 재생에너지 확대·열반사 지붕 도입 등 도시 차원의 에너지 전환정책이 구체적인 감축 성과로 이어진 사례도 확인된다. 반대로 하위권 기관들은 전력 수요가 고정된 운영 환경에 놓여 있어 단순 절약 캠페인만으로는 실질적인 감축이 어렵다.
전문가들은 "공공부문이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이끄는 핵심섹터라면, 기관별 특성과 감축 여력을 고려한 차등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교육기관에는 실험실 에너지관리, 고효율 장비 전환, 냉난방 효율화 등 기술 중심 지원이, 지자체·공사에는 재생에너지·고효율 설비 확산을 위한 재정적·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분석이다.
결국 공공부문 감축정책은 '모두에게 동일한 목표'를 부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기관 유형별 맞춤형 감축 패키지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감축이 가능한 영역에는 적극적인 설비투자와 기술 도입을, 감축 여력이 제한된 기관에는 구조 개선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때 실질적인 감축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