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엎질러진 밥상이 덩그러니…화마가 할퀴고 간 구룡마을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20 16:48:30
  • -
  • +
  • 인쇄
"집들이 기름덩어리나 마찬가지"
가연성자재·좁은골목 피해 키워
▲지붕이 내려앉고 전소돼 까맣게 잿더미만 남은 구룡마을 주택들  ©newstree 


20일 오전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에서 난 큰 불로 주택 60여채가 불타고 주민 500여명이 대피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불은 이날 오전 6시27분께 구룡마을 4지구에서 발생해 주변으로 확대됐다. 이 불로 가건물 형태의 비닐합판 주택 60채, 총 2700㎡가 소실되고 44가구에서 6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불이 난 구룡마을은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린다. 1980년대 말부터 도시 내 생활 터전을 잃은 철거민들이 구룡산과 대모산 자락에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집단촌락이다. 강남구에 따르면, 구룡마을에는 약 666가구가 거주 중이다.

▲밥상이 엎질러진 채 음식이 그대로 남아 있다. 불이 삽시간에 번진 탓에 식사를 마칠 새도 없이 부랴부랴 떠나야 했던 긴박함을 엿볼 수 있다. ©newstree 


불은 오전 11시46분경 진압됐지만, 이후에도 현장에서는 잿더미 사이로 매캐한 냄새와 함께 김이 솟아오르고 있다. 내려앉은 지붕 사이로 엎어진 밥상이 보인다. 음식과 가재도구가 그대로 남아있어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불이 삽시간에 번진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집의 자재가 지목되고 있다. 구룡마을 집들은 '떡솜'으로 불리는 솜뭉치로 사방을 둘렀다. 비닐과 스티로폼, 알루미늄 박판으로도 덮여있다. 내장재로 들어갈 법한 해당 자재들은 바람에 날리기 쉬워 고무 타이어로 고정돼 눌려있다. 모두 불에 잘 타는 물질로 뒤덮여 있는 것이다.

▲지붕위에 덧대어진 갖가지 단열재를 고무 타이어가 고정시키고 있다. ©newstree 


어른 1명이 지나가기도 벅차 보이는 골목에는 겨울을 맞아 LPG(액화석유가스) 통, 연탄들이 수두룩했다. 문어발처럼 뒤엉켜 낮게 드리워진 전선도 진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30년째 구룡마을에서 거주중인 한 주민은 "연탄도 꽉꽉 차 있어 집들이 거의 기름덩어리라고 보면 된다"면서 "눈비로 길이 얼어서 소방차가 들어오는 데도 애를 먹었지만, 반대로 나무들도 젖어 있어 산불까지 번지지는 않은 모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정도로 끝나는 게 천만다행"이라고 덧붙였다.

▲어른 1명이 지나가기도 벅차 보이는 골목 ©newstree 


구룡마을에서는 화재가 끊이지 않았다. 2009년부터 이날까지 최소 16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2014년 11월에는 주민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서울시는 2011년 구룡마을 정비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보상·개발 방식을 두고 무허가 주택 주민과 토지주, 시와 강남구의 의견이 부딪쳐 사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불이 날 때마다 구호소로 대피했다가 판자촌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하고 있다.

▲수북이 쌓인 연탄과 길가에 나와 있는 LPG 통 ©newstree 


한편 이재민 가운데 의료조치가 필요한 이들은 현장의 응급 의료소와 보건소로 이송됐다. 나머지 이재민은 인근 숙박시설로 수용됐다.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구룡마을을 방문해 "일찍 와보려 했는데 진화에 방해될 것 같아서 (진화가 완료된 후 방문했다)"라며 "출동 시간도 상당히 빨랐고 애를 많이 쓰셨다"고 소방관들을 격려했다. 주민들을 만나서는 "어려운 환경에서 고생하셨다"며 "사후 수습을 잘해야 한다. 구청에서 잘 챙겨야겠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