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아시아탄소협회' 출범...亞 첫 '자발적 탄소시장' 인증기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8-30 14:38:12
  • -
  • +
  • 인쇄
아시아탄소협회 역내 최초 검증 주재
도시·기술기반 저감 및 상쇄책에 집중


유럽·북미, 카타르에 이어, 아시아에서도 민간 탄소감축실적을 인증해주고 등록을 주관하는 단체가 출범했다.

싱가포르에서 역내 자발적 탄소시장의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사업의 검증을 주재하는 비영리기구 '아시아탄소협회'(ACI, Asia Carbon Institute)가 29일(현지시간) 발족했다. ACI는 아시아 최초 자발적 탄소배출권 인증기관이다.

ACI는 이날 성명을 통해 "탄소집약적인 제조산업의 중심지인 아시아 기업들에 지속가능한 사업 관행을 도입하려면 '자발적 탄소시장'(VCM, Voluntary Carbon Market)이 가장 주요한 장려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VCM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탄소저감 사업에 참여해 탄소를 상쇄한만큼 '탄소배출권'으로 사고파는 시장이다. 탄소배출권은 규제에 의한 '할당'과 탄소저감 사업을 통한 '상쇄'로 나뉜다. '할당'의 경우 국가가 지정하는 할당 대상이 아니면 감축을 유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맥킨지에 따르면 VCM 규모는 2030년에 이르면 2020년보다 15배 성장하고, VCM 내 탄소배출권 수요는 20억톤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VCM을 관리하는 국가차원의 관리감독기관이 없어 탄소배출권의 발행, 거래, 만료에 이르기까지 통일되고 합의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이 까닭에 탄소배출권의 '품질'이 부실한 경우가 많아, 기업들의 실적을 채워주기 위한 '그린워싱'에 불과하다는 논란에 휩싸이면서 활성화가 가로막혀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올초 미국의 대표 VCM 인증기관 베라(Verra)의 열대우림 조성과 같은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을 위시한 탄소배출권의 94%가 성과가 없는 '유령배출권'이라는 문제 제기가 이어지면서 지난 5월 베라의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데이비드 안토니올리가 사퇴했다.

이에 ACI는 전기차 충전소, CCUS,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등 탄소저감 기술 자체나 기반시설에 녹색기술을 적용하는 사업을 통해 더 입증 가능하고 직접적인 효력을 지닌 탄소상쇄 사업에 집중함으로써 기존 VCM의 한계를 극복할 다른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ACI 설립자 존 로는 "NbS만 가지고는 2050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ACI는 아시아 지역에 더 적합한 도시기반, 기술기반 저감 및 상쇄책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ACI는 현재 20개 탄소상쇄사업을 논의중이며, 6~12개월 내 이를 50개로 늘릴 계획이다. 각 탄소상쇄사업은 적게는 연간 1000톤에서 많게는 100만톤의 탄소저감 성과를 목표로 한다.

앞서 싱가포르는 지난 6월 싱가포르 국제탄소배출권 거래소 '클라이밋 임팩트 X'(CIX)를 통해 스팟 거래플랫폼 'CIX 익스체인지'를 개설하는 등 자발적 탄소시장을 선도하는 '탄소 허브 국가' 구상 이행을 본격화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