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 작아졌다"…1990년대 이후 몸집 절반 줄어든 이유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6 11:19:33
  • -
  • +
  • 인쇄

1990년대 이후 대구의 몸길이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이유가 인간의 포획활동을 회피하기 위한 유전적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인간이 몸집이 큰 대구를 지속적으로 포획하다보니, 몸집이 작은 대구들이 생존하게 된 진화의 결과라는 것이다.

독일 기오마르헬름홀츠해양연구소(GEOMAR)가 1996년~2019년까지 발트해 동부 보른홀름분지에서 채집된 동태 152마리의 '이석(耳石)'을 분석해 성장 기록과 체형 변화, 유전자 데이터 등을 종합해보니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이석은 나무 나이테처럼 연간 성장정보를 담고 있는 구조물이다.

연구에 따르면 1996년에는 대구 성체의 중앙값 몸길이가 40cm였으나, 2019년에는 20cm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체중도 1996년 1356g에서 2019년 272g으로 5분의 1로 줄었다.

기오마르헬름홀츠해양연구소(GEOMAR)의 토르스텐 로이슈 생태학과장은 "큰 개체가 꾸준히 제거되면, 작고 빠르게 성숙하는 개체가 유리해진다"며 "이는 인간활동에 의해 촉진된 진화의 한 사례"라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은 성장 속도에 따라 개체간 유전자 구성이 체계적으로 달랐고, 큰 체형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오랜기간 인간이 큰 개체를 선별적으로 포획하면서 나타난 유전적 압력이라는 설명이다.

현행 어업은 일정 크기 이상의 물고기만 잡히도록 망 눈의 최소 크기를 법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는 '어미가 한 번 이상 번식하도록 유도하자'는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작은 개체에 유리한 선택압이 형성되는 역효과가 나타난 셈이다.

로이슈 박사는 "번식을 마치고 잡히는 것이 개체군 건강에는 타당하지만, 유전적 구조와 몸집 분포에는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리버풀존무어스대학교 스테파노 마리아니 교수는 "이 연구는 인간 활동이 진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정표"라며 "단순히 개체수가 아닌 유전적 다양성 자체를 감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6월 25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5년간 '80조원' 푼다...국민성장펀드 10조원 참여

우리금융은 현 상황이 '저성장국면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향해 전환기를 만들어야 하는 시점'으로 규정하고, 앞으로 5년간 80조원을 투입해 첨단전

LG생활건강 사령탑 바뀐다...로레알 출신 이선주 CEO로 내정

LG생활건강 신임대표에 로레알 출신의 이선주 사장이 내정됐다.LG생활건강은 29일 열린 이사회에서 10월 1일자로 글로벌 화장품 기업인 로레알 출신의

경기도, 폐가전과 이차전지 배터리까지 무상수거 나선다

경기도가 오는 10월부터 중소형 폐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폐전지류까지 무상으로 통합수거한다.이를 위해 경기도는 29일 오후 용인시 처인구 수도권재활

LG전자 BEMS 적용건물, 3년 연평균 8.4% 에너지절감 인증

LG전자는 자사의 냉난방공조(HVAC) 사업의 비(非) 하드웨어(Non-HW) 분야인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이 에너지 절감과 효율성 향상 등 성과를 공식적으

농가에서 줄인 탄소, 기업 '탄소크레딧'으로 거래된다

농가에서 줄인 온실가스 감축실적이 인증을 거쳐 기업의 탄소크레딧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농림축산식품부, NH농협금융지주는 2

"탄소감축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BIS비율 8.9%까지 하락"

탄소감축이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자기자본(BIS)비율이 8.9%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수출입은행에

기후/환경

+

환경부, 내년 유엔기후주간 국내 개최 후보지 '여수'로 선정

내년 5월 열리는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UNFCCC Climate Week)'의 국내 개최 후보지로 전라남도 여수시가 선정됐다.환경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

산불·홍수 빈발하는데...美기후적응센터, 예산 삭감으로 존폐 기로

미국의 기후대응 연구기관들이 대규모 예산 삭감으로 운영 위기를 맞고 있다.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연구

2080년까지 4.2℃ 오르면...한반도 어류 19종 사라진다

한반도 기온이 2080년까지 평균기온이 4.2℃ 오르면 멸종위기 어류 28종 가운데 19종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

농가에서 줄인 탄소, 기업 '탄소크레딧'으로 거래된다

농가에서 줄인 온실가스 감축실적이 인증을 거쳐 기업의 탄소크레딧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농림축산식품부, NH농협금융지주는 2

'927 기후정의행진' 내일 광화문에서 열린다

이 시대에 기후정의를 요구하는 '927 기후정의행진'이 오는 27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다.기후정의행진조직위원회는 이날 오후 3시 광화문 동십자각에

"탄소감축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BIS비율 8.9%까지 하락"

탄소감축이 지연되면 수출입은행 자기자본(BIS)비율이 8.9%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원이 수출입은행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