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S효성과 카카오모빌리티, 현대건설 등 대기업들이 '김건희 특검' 수사선상에 놓이면서 적잖은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해당 기업들은 투자요건에 맞지 않는 업체에 김건희 측근이 설립했다는 이유로 수십억원대 투자를 했다는 점에서 유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9일 김건희 특검팀의 문홍주 특검보는 언론 브리핑에서 "특검팀은 수사 대상이었던 사람들이 렌터카 관련 회사를 설립한 후 도이치모터스로부터 사업상 혜택을 제공받고, 2023년 각종 형사사건, 오너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대기업, 금융회사 등으로부터 이해하기 어려운 거액을 투자금 명목으로 수수한 의혹에 대해 내사를 진행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내사 과정에서 속칭 집사로 불리던 주 피의자 김모씨가 올해 4월 출국해 지금까지 귀국하지 않았고, 사무실과 가족들이 주소지를 이전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해외 도피 및 증거인멸 정황이 있어 보여 최근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의혹의 쟁점은 김건희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모씨가 주도한 스타트업 'IMS모빌리티'에 대기업들이 줄줄이 왜 투자했는가이다. 투자 당시였던 2023년 IMS모빌리티는 부채가 순자산의 2배가 넘는 자본잠식 상태였으며, 누적손실도 수백억원에 달했다. 투자가치가 전혀 없을 것같은 회사에 카카오모빌리티, HS효성 등 기업들과 한국금융증권, 신한은행, 키움증권 등 주요 금융사들이 줄줄이 투자한 의도에 대해 특검팀은 주목하고 있다.
IMS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는 사모펀드 운용사인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진행됐다. 오아시스는 카카오모빌리티로부터 받은 약 30억원, HS효성 계열사로부터 받은 약 35억원, 한국금융증권에서 받은 50억원, 신한은행에서 받은 30억원, 키움증권에서 받은 10억원으로 조성한 약 184억원을 IMS에 투자한 것이다.
이에 업계 관계자들은 "통상적인 판단으로 보기 어려운 투자 결정"이라며 정치적 배경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실제로 특검팀은 기업들의 총수 관련 형사사건이나 금융감독원 심사과정에서 수사 편의나 선처 등을 제공받기 위해 김건희 측근이 설립한 회사에 투자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해당기업들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렌터카 중계사업 핵심 파트너사로서 사업적 판단에 따른 투자였을 뿐"이라고 밝혔다. HS효성 측은 "계열사를 통한 독립적 투자이며 충분한 심의를 거친 정상적인 투자였다"면서 "당시 사업성을 내다본 투자였지 정치적 요인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국금융증권 역시 "펀드 투자 제의를 받고 내부 검토를 통한 합리적 투자를 진행했을 뿐"이라며 "단순 재무적 투자로 참여한 것으로, 의혹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안을 답변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IMS모빌리티 투자 의혹 외에도 김건희 특검에서 주요 관심대상으로 떠오르는 기업은 또 있다. 윤석열 정부 시절 수의계약 방식으로 부산 가덕도 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를 단독 수주했던 현대건설은 정권 교체 이후 공사기간 부족을 이유로 사업포기를 선언했다. 당시 현대건설은 24개월의 공기 연장을 요구했으나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자 계약을 포기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해당 사업 수주 과정과 철수 결정 모두 정치적 고려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10조원이 넘는 사업을 수의계약으로 진행하고, 정권이 바뀌자 철수한 흐름이 김건희 여사와의 연관성을 피하기 위한 '꼬리 자르기'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현대건설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공기 연장은 어디까지나 안정성 문제에 따라 요청한 사항"이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안정성 문제가 발견돼 공기 연장을 요청했을 뿐, 공사비를 늘리기 위한 꼼수라는 것은 얼토당토 않은 얘기"라며 "현재 공기로는 사업 진행이 무리라고 판단해 철수했을 뿐 정치권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론은 냉담하다. 정치권 인사와의 친분 관계, 정부 주요 프로젝트 수주 경위, 정권 교체와 맞물린 전략적 결정 등이 언론 보도를 통해 동시에 조명되면서 부정적 이미지가 확대되는 분위기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업은 신뢰가 핵심 자산인데, 정치적 이슈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만으로도 글로벌 파트너십이나 신규 투자 유치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조사대상에 오른 기업의 한 관계자도 "굉장히 난감하고 곤혹스러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IMS모빌리티 투자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가 예고되고, 가덕도 신공항 사업 수주·철수 경위 관련 조사 요청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기업들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