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박진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2 14:26:39
  • -
  • +
  • 인쇄
▲논문의 그래픽 초록 (자료=줄)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탄소 전력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1일 웨이 허(Wei He) 교수가 주도한 영국 킹스칼리지런던공학부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50년 넷제로 실현을 위해 연구한 '헬리오스타트 군집(Heliostat Swarm)'과 '간헐적 평면 배열(Mature Planar Array)' 설계를 활용한 '우주 태양광' 발전을 하면 유럽의 탄소중립을 앞당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시스템 비용을 7~5%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배터리 사용량도 3분의2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정지궤도 위성에서 거울과 같은 반사경을 사용해 태양광을 모은다. 수집된 태양광은 지구 관측소로 보내 전기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 개념은 1968년 체코‑미국 항공우주공학자 피터 글레이저(Peter Glaser)가 우주 경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처음 제안됐다가, 탄소중립을 해야 하는 시점에 다시 제기된 개념이다.

지상의 재생에너지는 날씨에 따라 변동이 심해서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다. 또 생산 비용도 들죽날죽이다. 특히 태양광은 일조시간에만 생산이 가능하고 밤이나 흐린 날씨에는 전력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우주 태양광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 데다, 대기권 밖에서 기가와트급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우주기반 태양광 발전(SBSP) 운영방식 및 시스템 아키텍처 개요(자료=줄)

웨이 허 교수는 "우주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항상 태양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지구에서의 일일 발전량과 비교했을 때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면서 "우주에서는 태양 복사량이 지구 표면보다 높아 전력 생산에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이같은 수준의 효율을 달성하려면 현재 나사가 개발한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하나는 우주 태양광 설계 방식인 '헬리오스타트 스웜(heliostat swarm)'이고, 다른 하나는 '성숙한 평면 배열(Mature Planar Array)' 기술이다.

'헬리오스탯 스웜'은 수많은 거울이 중앙수신기로 햇빛을 반사시켜 이를 지구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날씨에도 연중 최대 99.7%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성숙한 평면 배열'은 지구 반대쪽을 향한 평면 태양 전지판 배열과 지구를 향한 전파 방출기를 사용해 태양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낮은 용량탓에 태양에너지를 약 60% 정도만 포집 가능하다.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CSIRO 기후과학센터의 글로벌 탄소프로젝트 전무이사 및 선임연구원 펩 캐나델(Pep Canadell)은 "우주에서 태양광 패널을 통해 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은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려는 우리의 노력에 훌륭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줄(Joule)' 8월 21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