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플랫폼을 통해 호출부터 탑승,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서울 상암 지역에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DRT(수요응답형 교통)는 이용자 호출에 따라 최적 경로를 설정해 노선과 운행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대중교통 서비스다. 이용자가 직접 호출하는 건 콜택시와 비슷하지만 버스처럼 탑승, 하차가 가능한 정류장이 정해져 있다는 차이가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강남·세종·판교·서울·대구·제주 등에서 축적한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경험과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자체 개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자율주행 기술기업 에스더블유엠(SWM)과 협력해 마포구 상암 일대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해당 노선은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차량 1대를 포함해 총 2대의 카니발로 운영되며, 국내 규정에 따라 자율주행을 관리할 관리자 1명이 타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현재 자율주행 규제에 따라 운전석에 반드시 운전자가 탑승해야 하기 때문에 자율주행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며 "이후 규정이 바뀌면 완전자율주행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자는 카카오T 앱에서 DRT 아이콘을 선택한 뒤, 노선, 승하차 정류장, 탑승 인원 및 시간을 입력해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배차가 완료되면, 예상 대기시간, 차량 정보, 실시간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시범 운행 기간동안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며, 평일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DMC역누리스퀘어·MBC·DMC역 등 상암 DMC역 부근에서 운영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향후 농어촌, 고령화 지역, 신도시 외곽 등 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DRT 서비스 확대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서울 도심에서 제공되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카카오 T 앱에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경험해 보시길 기대한다"며 "계속해서 다양한 형태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며 기술에 대한 이용자 수용도를 높이고, 자율주행 생태계를 함께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 A2Z), 에스유엠(SUM) 등 국내 자율주행 전문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를 대비한 국내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