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산불로 1만4000종 무척추동물 서식지 파괴됐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0 15:23:03
  • -
  • +
  • 인쇄
호주 무척추동물 60종 멸종위기종 등재 권고
"화재피해 95% 무척추동물..대중관심 못받아"
▲호주 산불로 피해를 입은 오기리스 할마튜리아(Ogyris halmaturia)종. 빅토리아주에서는 멸종됐으며 현재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주에 개체가 남아있다. (사진=NESP 보고서 캡처)


호주에서 2019~20년도에 걸쳐 발생한 산불로 무척추동물 1만4000여종이 서식지를 잃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프로그램(NESP)의 연구에서 호주 무척추동물 1만4159종의 서식지가 산불로 소실됐고, 무척추동물 1209종의 50%가 산불에 사라졌다. 연구보고서는 실제 피해를 입은 종이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학자들은 무척추동물 1209종 가운데 60종을 호주의 멸종위기종에 추가할 것을 정부에 권고하고 있다. 여기에는 캥거루섬 암살거미,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아틀로마스틱스속 노래기,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에서 발견되는 날도래의 일종 등이 포함된다. 뱅크셔 몬타나 가루깍지벌레(Banksia montana mealybug)는 이미 산불로 인해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 멸종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불로 파괴된 캥거루섬 암살거미 서식지 (사진=NESP보고서 캡처)


특히 캥거루섬 암살거미는 호주 전역에서 발견되는 고대 암살거미종 중 하나로, 물새를 닮은 특이한 모양 때문에 펠리컨 거미로도 불린다. 암살거미라는 명칭은 다른 거미를 잡아먹는다고 해서 붙여졌다.

이들은 산불에 취약한 저지대 초목 낙엽 속에 서식한다. 게다가 현존하던 캥거루섬 암살거미의 서식지는 2019~2020년 산불로 완전히 파괴됐다. 이후 4km 떨어진 다른 위치에서 단 2개의 표본이 발견됐다.

연구의 공동저자 제스 마쉬 박사는 "이는 많은 무척추동물들에게 공통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서식지 범위가 너무 작은 종은 한 번의 산불에 전체 종의 존속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NESP은 산불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곤충과 절지류 등 무척추동물의 숫자가 척추동물의 숫자보다 훨씬 더 많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심은 코알라와 같은 인지도가 높은 동물에 집중돼 있어, 이같은 사실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연구저자 중 한명인 존 위나르스키 찰스다윈대학 교수는 "화재로 피해를 입은 동물의 약 95%는 무척추동물이지만 이는 대중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학자들은 일부 종은 알려진 기록이 한두개뿐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호주의 무척추동물은 총 11만1233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많은 종은 개체 수에 관한 기록이나 자료가 없다.

멜버른대학의 또다른 공동저자인 리비 럼프는 이번 연구가 관심이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 소위 "정보가 부족한" 종을 보전하는 어려움을 강조했다고 했다. 그는 "많은 무척추동물은 개체 자체가 희귀하거나 분포가 제한돼 있고 척추동물을 비롯한 다른 눈에 띄는 종에 가려져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마쉬 박사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호주의 무척추동물 보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기를 희망했다. 박사는 무척추동물을 보존할 방도로서 서식지 전체를 보호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러한 접근법이 잘 알려진 종뿐만 아니라 알려지지 않은 종들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했다.

마쉬 박사는 "무척추동물은 대중의 여론부터 의사결정권자에 이르기까지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며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보존계획에 무척추동물을 포함시킬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척추동물은 호주의 독특한 포유류와 조류에 가려져 있지만, 수분 작용이나 분해자, 더 큰 동물의 먹이원 등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나르스키 박사는 많은 생물종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호주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학자들이 권고한 60여종이라도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된다면 호주 무척추동물 보존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척박한 토양 늘어나고 있다...'물부족, 가뭄, 홍수' 초래

토양 악화로 물부족,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해지고, 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토양보존 촉구단체 세

EU, 車 탄소배출 규제완화 확정…"전기차 전환 지연 우려"

유럽연합(EU)이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유럽의회는 8일(현지시간)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2027년까지 3년 평균 배출

4월 1.5℃ 또 무너졌다…역대 두번째 더운 4월로 기록

올 4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1℃ 상승해 관측 사상 두번째로 더운 4월로 기록됐다.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