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열린 북극해로, '블랙카본'이 얼음 더 녹인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1 16:02:03
  • -
  • +
  • 인쇄
블랙카본, 북극 해빙 가속화·생태계 위협
기후위기로 새로운 항로 개방되면서 북극에 매연배출↑


지구온난화로 북극 해상항로가 열리면서 북극의 블랙카본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기후위기로 북극 빙하가 감소하면서 북극 항로가 개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13년과 2019년 사이 북극 선박운송이 25% 증가했으며 전문가들은 이 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2월에는 러시아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호가 중국 장쑤에서 시베리아 항구까지 북극을 경유해 항해했다. 이 항해가 유럽-아시아 간 이동시간을 1/3 이상 단축해 세계항로를 재편성할 시작점으로 예고되었다.

문제는 북극 해운의 개방이 북극에 더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선박이 늘면 배기가스에 따른 블랙카본(Black carbon)이 증가해 북극의 붕괴를 앞당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블랙카본은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형성된 그을음이다. 자동차 매연 등이 해당되며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기오염물질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20% 이상을 차지한다. 인체에 유입될 경우 호흡기·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키는 블랙카본은 일시적이지만 강력한 기후인자다.

특히 블랙카본이 눈과 얼음에 떨어지면 얼음이 급격히 녹는다. 검게 물든 눈과 얼음은 열을 반사하는 하얀 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해 녹는 속도도 훨씬 빨라진다. 온난화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미 2015~2019년 사이 북극의 블랙카본이 85%나 증가했다. 환경운동가들은 그 주요 원인으로 유조선과 벌크선의 증가를 지적했다. 심슨스펜스영(Simpson Spence Young) 선박중개업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세계 해운으로 인한 전체 오염은 4.9% 증가했다.

그러나 도로, 철도, 내륙수로 등 다른 운송부문과 달리 해운은 이렇다 할 배출 규제가 없다. 지난 11월 국제해사기구(IMO)는 블랙카본을 줄이기 위해 북극 청정연료 사용 결의안을 채택했지만 이를 자발적인 선택에 맡겼다.

지난주 환경단체연합은 오염방지대책소위원회 회의에서 해당 결의안이 북극의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각국 정부에 선박의 블랙카본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의무적인 규제에 동의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4일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기후붕괴를 막으려면 "지금이 아니면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다. IPCC는 특히 해운 부문과 IMO를 지목하며 국제사회가 기후약속 이행 성과가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루시 길리엄(Lucy Gilliam) 비영리단체 시즈앳리스크(Seas at Risk) 수석해운정책책임자는 "IPCC 보고서는 시급히 블랙카본에 대한 조치를 취할 이유를 상기시킨다"고 말했다.

시안 프리어(Sian Prior) 비영리단체연합 청정북극동맹(Clean Arctic Alliance) 수석고문은 "IMO 회원국들은 북극의 기후위기를 완화하기 위해 글로벌 블랙카본 감축조치에 동의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각 지역이 선박의 블랙카본 배출을 줄이기 위해 즉시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해당 단체는 운송에 사용되는 중유를 청정증류연료로 전환하면 블랙카본 배출량을 44%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중유 또는 벙커유는 등급이 낮고 저렴한 원유로 제조됐으며 질소와 황 등이 포함돼 있어 증류연료보다 오염이 더 심하다. 또 모든 선박이 블랙카본을 포집 및 저장해 배출량을 줄이는 디젤 미립자필터도 설치하면 블랙카본을 90%까지 줄일 수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2021년 IMO가 발표한 북극 내 중유사용금지법으로 블랙카본이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조치는 유출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2029년 발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폴 블라머러스(Paul Blomerus) 캐나다 비영리단체 클리어시즈(Clear Seas: Center for Responsible Marine Shipping) 이사는 "많은 캐나다 국적 선박이 IMO의 금지를 앞두고 증류연료로 전환하고 있다"며 "이는 추가로 블랙카본 배출량을 줄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러시아가 북극해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에 주목하며 "러시아가 IMO의 규정을 준수할지는 현재 상황에서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