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 듀공·전복류·기둥산호 멸종위기…가장 큰 원인은?

조인준 / 기사승인 : 2022-12-12 12:15:02
  • -
  • +
  • 인쇄
▲IUCN 적색목록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된 듀공, 전복류, 기둥산호(사진=IUCN)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해양 생물의 9%인 1550여 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 중 41%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CNN방송은 10일(현지시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최신 멸종위기 종 적색목록(Red List)에 따르면 해양 생물 1만7903종 중 1550종 이상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IUCN 적색목록은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지구 동식물 종의 보전 상태 목록으로 1963년 제작됐다.

크레이그 힐튼-테일러(Craig Hilton-Taylor) IUCN 적색목록 책임자는 "물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실제 볼 수 없어 생물종 분석으로 수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며 "이 결과는 우리가 해양 생물들에게 매우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분석된 종들은 널리 퍼져 있어 멸종 위협을 받지 않는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실제 멸종에 직면한 해양 생물 비율은 현재 자료보다 훨씬 더 높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적색목록에는 바다소로 알려진 초식성 해양 포유동물 '듀공'이 멸종위기종으로 추가됐다. 듀공 서식지인 동아프리카의 개체는 250마리 이하로 감소했으며,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개체는 900마리 이하로 줄었다.

IUNC은 동아프리카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어구에 의한 포획이, 뉴칼레도니아에서는 밀렵이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동아프리카에서 석유·가스 탐사와 생산, 해저 저인망, 화학 오염, 무허가 해안 개발 등으로 듀공의 먹이가 되는 해초가 파괴되고 있고, 태평양의 니켈 광산으로 인한 오염도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다.

최근 명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전복류도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IUCN은 전복류가 밀렵과 무분별한 어업으로 위협받고 있다며 조사대상 54종 중 20종(44%)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밀렵으로 특정 전복류를 '멸종'시켰으며 아라비아 반도 일부에선 농업과 공업으로 인한 오염이 전복들을 위협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해양 폭염도 해양 생물 종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꼽혔다. 호주 서부 해안에 서식하는 전복 종(Roe's abalones)은 극심한 해양 폭염으로 99%가 폐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리브해에 서식하는 종유석을 닮은 산호인 기둥산호(pillar coral)는 1990년대 이후 서식지가 80% 이상 감소해 이번 적색목록에서 멸종위기 단계가 '취약'(vulnerable)에서 '위급'(critically endangered)으로 상향됐다.

아만다 빈센트(Amanda Vincent) IUCN 해양보호위원회 위원장은 "이런 생물 종이 처한 끔찍한 상태는 매우 충격적"이라며 "이는 우리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급히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Video

+

ESG

+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