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꿀벌용 뷔페' 만든다…LG생건 '꿀벌의 공원' 식재 행사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6 14:37:05
  • -
  • +
  • 인쇄
▲16일 LG생활건강은 울산 울주군의 한 공원에서 울주군, 울산생명의숲 등 유관기관과 함께 '꿀벌의 공원' 식재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사진=LG생활건강)

울산 공단 주변의 한 공원이 꿀벌을 위한 뷔페식당으로 재탄생했다.

LG생활건강은 생활용품을 생산하는 울산·온산공장 인근 울주군의 한 공원에 꿀벌이 좋아하는 '밀원식물'을 심는 '꿀벌의 공원' 식재 행사를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행사는 지역사회 사업장을 연계한 맞춤형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으로 ESG 경영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됐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2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탄소저감 및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생물다양성 회복을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자원 확보 및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로 보고, 첫번재 프로젝트로 주요 사업장인 울산공장 주변의 방치된 공터를 꿀벌의 공원으로 가꾸는 활동에 나선 것이다.

특히 꿀벌 보호에 주목한 건 생태계 유지 필수종인 꿀벌의 집단폐사 사태가 매우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에서만 약 100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진 것으로 추산되는데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꿀벌의 먹이가 풍부한 서식지가 기후변화로 인해 부족해진 점이 꼽혔다.

이에 LG생활건강은 약 1만5500평방미터(㎡) 규모의 공원에 꽃가루와 꿀이 풍부한 벚나무, 헛개나무, 산수유 등 키 큰 교목류와 물싸리나무, 꽃댕강나무 등 관목류 약 1000여 그루를 식재했다. 꿀벌뿐만 아니라 나비, 딱정벌레 등 다양한 곤충이 서식할 수 있는 도시숲을 조성해 곤충 종 다양성 증진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또 다양한 식생이 살면서 공단 주변 지역 탄소 저감 효과와 미세먼지 차단 효과도 볼 수 있다.

박헌영 LG생활건강 ESG 대외협력총괄 전무는 "기후변화, 생태계 절멸 등 지역사회 재난 요인을 방지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생태계 보전과 복원 활동이 필수적"이라며 "미래 고객인 우리 아이들의 더 나은 삶과 경험을 위해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공원에 지속적으로 과일나무 등을 심고 주민들이 쉴 수 있는 쉼터를 가꾸는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또 취약계층을 비롯한 시민들에게는 도시숲과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에 관한 환경교육을 제공하고, 나무 심기 캠페인도 진행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도시의 벌집 분석했더니...'미생물 정보' 고스란히 담겨

꿀벌로 도시의 미생물 분포를 추적하고, 이 정보를 공중보건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탠던 이공과대학교 엘리자베스 에나

'닭발 가로수' 사라지나...환경부 "가로수잎 75% 유지해야"

나무 몸통만 남을 정도로 가지를 싹둑 자르는 무분별한 가지치기를 제한하는 지침이 생겼다.31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가로수 가지치기를 할 때

식물도 소리를 낸다고?...물부족하거나 줄기 잘리면 '딸칵' '펑'

식물도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은 식물이 물이 부족하거나 갑작스러운 손상을 입는 등 스트

친환경 가구부터 대체육까지…'커피박' 어디까지 변신할까?

식후커피를 즐기는 직장인 A씨는 점심을 먹은 뒤 챙겨온 텀블러를 들고 커피 전문점을 찾았다. 그런데 A씨는 문득 점원이 '커피 찌꺼기'를 처리하는 모

차량 배기필터 의무화됐지만...'초미세먼지' 못거른다

차량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초미세먼지는 거의 거르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로이 해리슨(Roy Harrison) 영국 버밍엄대학

석유·천연가스 위험 간과한 손보사...9곳중 8곳 보험·투자정책 '0점'

기후리스크가 최대의 안보·경제 위협으로 지목받는 가운데 국내 손해보험사는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보험 인수심사나 투자정책을 갖추지 못한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