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쓰레기 소각장 '상암동' 선정...지상엔 편의시설 조성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8-31 12:48:08
  • -
  • +
  • 인쇄
하루 1000톤 처리...시설 모두 지하화
상암동 주민 편의시설에 1000억 투입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의 새 쓰레기 매립지 

서울시가 새로운 쓰레기 소각장 건립지로 마포구 상암동을 최종 선정했다. 

서울시는 지난 24일 열린 제19차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건립지로 현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 옆 상암동 481-6 등 2개 필지를 최종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총 2만1000㎡ 규모이며, 현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폐쇄한다.

서울시는 시설을 지하화하고, 지상에 시민, 관광객을 위한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 상암동 주민을 위한 1000억원 규모의 주민편익시설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는 마포를 비롯해 노원, 양천, 강남에 있는 소각장 4곳에서 하루평균 2200t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소각하지 못한 1000t은 인천의 수도권매립지로 보내왔는데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추가 소각장 설치가 불가피해졌다.

이에 서울시는 하루 10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을 새로 건립하기 위해 36개 후보지 가운데 오곡동, 고덕동, 염곡동 등 5개소로 압축해 정량평가를 실시한 결과 상암동이 94.9점을 받아 지난해 8월 최적 후보지로 선정했다.

서울시는 오염방지시설을 최고수준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청소차 전용도로와 폐기물 저장소 등 주요시설을 지하화하고, 폐기물 처리과정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자동화하는 한편 오염방지설비도 구축할 계획이다. 배출가스 관리는 법적 배출허용기준 대비 10배까지 강화할 방침이다.

매립지 지상은 공원으로 조성한다. 적절한 수변시설을 비롯해 문화시설과 전망대,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설치해 시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것이 서울시의 그림이다.

아울러 상암동 주민을 위해 1000억원을 투입해 수영장, 헬스장, 독서실, 사우나, 골프연습장, 놀이공간 등의 편의시설을 건립한다. 또 매년 기금을 조성해 주민 복리증진과 지역발전에 사용한다.

한편 입지선정위원회는 시설이 건립되는 마포 지역주민을 위해 서울시와 자치구가 해야 할 일을 의결하고 시에 권고했다. 권고사항은 △주변영향지역을 확대해 주민건강 영향조사 방안 마련 △주민지원협의체 주민참여 방안 모색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랜드마크로 조성해 지역발전 시설로 건설 △시와 25개 자치구는 마포구민과 함께 쓰레기 감량에 적극 동참해 기존 마포 자원회수시설 조기 철거 △신규 자원회수시설은 최신 시설 도입‧건설로 지역주민 안심 등이다.

시는 권고사항을 철저히 이행하고 주민건강영향조사를 시행하는 등 주민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는 이날 신규 자원회수시설 입지를 결정·고시한 후 예비타당성 조사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기획재정부), 투자심사(행정안전부), 환경영향평가(환경부) 등의 후속 절차를 밟는다. 환경영향평가는 주민 참여로 추진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지속해서 주민과 소통하며 안전하고 깨끗한 시설로 건설해 지역의 명소로 조성할 것"이라며 "시와 시민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므로 상암동 인근 주민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한편 마포구 주민 등으로 구성된 마포소각장 백지화 투쟁본부는 시의 결정에 강력 반발하며, 행정소송과 집회 등 반대 활동과 주민 자체적인 쓰레기 감축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KB국민은행, 중소·중견 대상 '우리기업 탄소기업 첫걸음' 이벤트

KB국민은행이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등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기후/환경

+

"담배필터 금지해야"...유해물질 못거르고 미세플라스틱만 흡입

담배 필터가 정작 유해물질을 거르는 기능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미세플라스틱만 인체로 흡입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최근 영국 중독연구협회 학술지

"종량제 이것 넣으면 과태료 100만원"...분리배출 '가짜뉴스' 판친다

'10월부터 종량제봉투 단속이 강화된다', '10월부터는 라면봉지 씻지 않고 버리면 10만원 과태료' 등 생활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해 유튜브에 가짜정보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국제해운 '탄소세' 연기에…기후솔루션 "2050 탄소중립 시계 멈췄다"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첫 탄소세 시장 도입이 최종 문턱에서 불발되자, 기후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

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유엔 산하 국제해사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