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수의 ESG 풍향계] 규제가 무서워 ESG경영?

최남수 서정대 교수 / 기사승인 : 2024-03-21 08:00:02
  • -
  • +
  • 인쇄

ESG는 표면적으로 보면 규제나 부담으로 다가오기 십상이다. 무엇보다 투자자와 금융기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ESG 경영을 압박하고 있다. 투자자와 금융기관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소비자들은 환경 보호 등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와 부합하는 제품을 구매하려는 '가치소비' 관점에서 ESG 경영에 대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최근들어 기업이 따라가지 않으면 안되는 구체적 제도가 잇따라 만들어지고 있다. 지속가능성 및 기후공시의 틀이 속속 마련되고 있으며 고탄소 제품에 재무적 부담을 지우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가 확정돼 2026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 또 친환경 경영이나 제품으로 꾸미는 그린워싱 문제가 심각해지자 각국 정부가 규제조치를 내놓고 있다.

이렇다보니 국내에서는 ESG를 주로 제도나 규제로 보는 '평면적' 시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래를 내다보는 능동적인 실행보다는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피동적 움직임이 지배적인 게 솔직한 현실이다. 하지만 잊지 않아야 할 점은 ESG의 목적이 환경을 보호하고 이해관계자를 존중하는 가치를 경영 전반에 내재화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ESG에 대한 이같은 '입체적' 시각을 놓치고 자칫 규제에만 시선이 쏠리면 '별'을 보지 못한 채 '땅'만 주시하는 잘못을 범하게 될 우려가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는 '기업전략과 운영에 ESG가 필수가 돼서', '관련 의무와 규제에 대비', '고객사와의 안정적 거래유지' 등이다. 정작 기업가치 상승을 가져오는 매출확대와 신규 비즈니스 확보의 기회로 보는 응답비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기업은 어떨까? 한국경제인협회의 전신인 전경련이 조사한 내용을 보면, 대기업이 ESG가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 1위는 '기업 이미지 제고'(43.2%)이고, 다음으로 '국내외 수익 직결'(20.8%), 'ESG 규제 부담'(18.0%), '투자자 관리'(15.3%) 순이다. 대기업이어서 그런지 수익을 두번째로 중시하고 있지만, 항목별 응답 비율을 비교해보면 ESG를 가치 제고의 계기로 보는 적극적 시선은 미흡한 편이다.

이 점이 외국기업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KPMG가 전세계 1300명 이상의 CEO에게 물어본 결과, 대부분의 CEO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비즈니스 전반에 ESG를 내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KPMG의 또다른 조사에서도 기업 리더 중 43%는 ESG가 재무적 성과를 개선한다고 답했다. 맥킨지 조사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기업인들에게 ESG에 대응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물었더니 '성장촉진'이 44%로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다. 외국 기업인들은 기업가치 제고를 ESG 경영의 지향점으로 분명히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ESG 경영은 기업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ESG 평가기관인 에코바디스는 환경에서 높은 등급을 받은 기업이 EBITDA 마진(이자·법인세·감각상각 전 영업이익)이 더 낫고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가진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이익률이 3% 포인트 높다고 진단했다. 맥킨지는 자본과 소비자 수요가 저탄소로 이동함에 따라 2030년까지 기업들은 탈탄소화로 매년 9조~12조달러의 매출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특히 선도기업이 비용과 탄소감축을 동시에 추진하면 재무성과를 최대 15%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모범을 보인 기업이 있다. 핀란드의 정유기업인 네스테는 설립 이후 60년동안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원유 사업에만 전념하다가 이 비즈니스 모델이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제품 자체를 바이오 디젤 등 재생연료로 대전환했다. 그 결과 이 기업은 2015년에 세계 최대 재생연료 기업으로 부상했고, 캐나다의 기업평가 기관인 코퍼릿 나이츠가 선정한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100대 기업 중 2~4위를 유지하고 있다. ESG를 내재화해 사업모델을 환골탈태(換骨奪胎)한 사례다.

모든 일에 있어서 '능동'과 '피동'은 큰 차이를 가져온다. ESG 경영도 마찬가지다. ESG는 단지 제도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일에 국한되지 않는다. 경영 전반을 ESG의 가치를 중심으로 혁신해서 능동적으로 기업 가치를 키우는 과정이다. 그렇게 하는 기업이 ESG 경영에서 의미 있는 열매를 맺고, 사회와 경제도 건강하게 가꿔갈 수 있을 것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 최남수서정대 교수 nschoi@seojeong.ac.kr  다른기사보기
  • 현 서정대 교수/더이에스지연구원장/전 YTN 대표/ 전 MTN 대표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