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온라인 불법판매 '덜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11-21 17:11:02
  • -
  • +
  • 인쇄
▲약국에서 판매 중인 비만치료제 '위고비'(사진=연합뉴스)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를 온라인으로 불법 판매하거나 광고하는 게시물이 359건이나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0월 15일에서 11월 14일까지 온라인에서 비만치료제를 불법으로 판매하거나 광고한 게시글 359건을 약사법 위반으로 적발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차단을 요청했다고 21일 밝혔다.

적발된 주요 유형은 '온라인 판매사이트 소개글'이 234건, '온라인 거래를 위한 카카오톡, 텔레그램 등을 안내하는 게시글' 63건, '개인간 중고거래' 31건, '온라인 판매' 31건 등이다.

이 가운데 비만치료제 GLP-1 계열인 '위고비', '삭센다' 적발 비중이 150건에 달했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는 위고비프리필드펜, 삭센다펜주 등 포도당 의존적인 인슐린 분비 증가·글루카곤 분비 저해·허기 지연·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위고비는 지난달 15일 국내 출시 이후 오남용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제품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머스크 다이어트약'으로도 유명한 이 약은 실제 효과를 봤다는 후기도 많지만 오남용시 구토, 변비, 설사, 복부 팽만감의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흡인성 폐렴,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 의사의 처방과 약사의 조제·복약지도에 따라 정해진 양을 투여해야 한다. 식약처는 "온라인으로 약품을 구매하면 변질·오염 발생 우려가 있어 안전과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며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피해구제를 받을 수 없으므로 온라인으로 구매하면 안된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