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산불' 강풍에 되살아났다…하루새 여의도 10배 잿더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4 10:10:07
  • -
  • +
  • 인쇄
▲3주째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美 LA카운티(사진=AFP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서부에서 발생한 산불이 잠잠해지는가 했더니, 또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확산되면서 하루밤 사이에 여의도 면적의 10배를 불태웠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오전 10시53분 LA카운티 북서부에 위치한 캐스테이크호 인근에서 발생한 '휴즈 산불'은 23일(현지시간) 오전 10시 기준 41.2평방킬로미터(㎢)까지 확산됐다. 계절성 돌풍 '샌타애나'를 만나면서 하루밤 사이에 여의도 10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된 것이다. 아직도 완전히 진화되지 않고 있는 펠리세이즈·이튼 산불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64km 떨어진 곳이다. 

LA소방국은 '휴즈 산불'의 초기 진압에 나섰지만 확산 속도가 너무 빨라 진압률이 14% 수준이다. 이에 화재지역 인근 주민 3만1000명에게 대피 명령이 내려졌고, 잠재적 위협이 있는 2만3000명에게는 대피 준비를 권고했다. 대피령이 떨어진 지역은 교도소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이 교도소 수감자 약 470명은 다른 시설로 이감됐다.

'휴즈 산불'의 이처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은 '샌타애나' 때문이다. 미국 기상청(NWS)은 극도로 건조한 이 강풍이 오는 24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보했다. 다행히 이번 주말인 25~26일 LA 일대에 12.7~19.1㎜가량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있다. 이 비가 내리면 산불이 어느 정도 잡힐 것을 소방당국과 주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 LA 산불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부터 시작돼 16일째 이어지고 있다. 첫 시작은 해안마을 '팰리세이즈'에서 시작됐고, 그 다음에 LA 동부 내륙지역에서 '이튼 산불'이 발화됐다. 이후 4~5군데 산불이 동시다발로 발생했으나 현재 거의 진화됐다. 그러나 21일 샌디에이고 쇼핑몰 근처에서 '프라이어스 산불'과 '라일락 산불'이 또 발생해 대피 명령까지 내려졌다. 또다른 곳에서도 '팔라 산불'이 발생했지만 진압됐다.

가장 규모가 큰 '팰리세이즈 산불'은 현재까지 94.9㎢를, 동부 내륙의 '이튼 산불'은 56.7㎢를 태웠다. 이 두 산불도 아직 완전히 진화되지 않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