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챗GPT'를 사용하고, 대화요약과 통화녹음, 숏폼 생성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AI) 기능이 지원되는 등 모바일 생태계를 이끌었던 카카오톡이 'AI 생태계'로 대전환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가능성, 일상이 되다'라는 슬로건으로 23일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이프(if) 카카오 25' 컨퍼런스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시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카카오의 전략을 담았다"며 15년만에 개편하는 카카오톡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 누구라도 톡을 하듯, 카카오는 AI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AI 문턱을 대폭 낮추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자체 AI 기술이자 서비스인 '카나나'(Kanana)를 접목해 대화요약, 통화녹음, 숏폼 생성 등을 비롯해 기존 샵(#)검색을 대체할 '카나나 검색'을 선보이는데 이어, 보안성을 극대화한 온디바이스(On-Device) 기반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Kanana in KakaoTalk)' 등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베타서비스 중인 '카나나앱'은 다수가 AI와 함께 소통하며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형 서비스로 업데이트 된다.
오픈AI와의 공동 프로덕트도 오는 10월 출시된다. 별도의 앱 설치없이 카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챗GPT의 단순 활용을 넘어,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도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과 PlayMCP, 에이전틱 AI빌더(Agentic AI Builder) 등의 에이전트 플랫폼을 함께 공개하며 AI생태계 확장 계획을 구체화했다.
정 대표는 "카톡의 대화창은 더 많은 것이 실현되는 '가능성의 창'이 될 것"이라며 "'카톡 해'라는 말은 이제 단순히 '메시지 보내'라는 뜻을 넘어, 카카오 AI를 통해 더 큰 세상을 경험한다는 새로운 의미로 해석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홍민택 카카오 CPO는 크게 달라질 카톡의 구체적 모습을 공개하면서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대화와 관계, 일상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고자 했다"고 밝혔다.
특히 '채팅탭'은 이용자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대화 중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쾌적한 대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먼저 '채팅방 폴더' 기능을 새롭게 도입해 이용자가 직접 설정한 카테고리별로 채팅방을 분류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채팅탭 내 '안읽음' 폴더에서 채팅방을 아래로 살짝 당겨 아직 읽지 않은 메시지를 볼 수 있는 기능과 읽지 않은 채팅방 메시지를 카나나가 요약해주는 기능도 도입한다. 보이스톡에도 통화녹음, 텍스트 변환, AI 요약, 검색 등 편의성 높은 기능들이 탑재된다.
'숏폼'과 '오픈채팅'을 이용할 수 있는 '지금탭'으로 새롭게 개편된다. '숏폼'은 다양한 영상을 스크롤해 보며 친구에게 바로 공유할 수 있고, 채팅방에서 친구와 함께 영상을 보며 소통할 수 있다. '오픈채팅'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오픈채팅 커뮤니티'는 개별 채팅방에 입장하지 않아도 화제성 있는 대화들을 피드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 '댓글' 기능을 통해 관심 주제에 대한 흐름을 놓치지 않고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이날 카카오와 오픈AI의 공동 프로덕트도 처음 공개됐다.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양사 협업시 카카오톡 이용자가 챗GPT를 안전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챗GPT 안에 카카오와 외부의 서비스를 연결해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것에 집중했다"며 "이용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카톡 이용자라면 누구나 채팅탭 상단의 '챗GPT'를 눌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챗GPT로 주고 받은 대화와 생성된 콘텐츠를 대화방에 바로 공유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 대화 중 손쉽고 빠르게 챗GPT로 전환해 사용 가능하다. 카카오톡에서 사용하는 챗GPT는 오픈AI의 최신모델 GPT-5로, 텍스트와 이미지 처리와 생성 및 고도화된 컨텍스트 인지 능력을 갖췄다.
단순히 카톡에 챗GPT를 적용한 것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별도의 앱 전환이나 메뉴 탐색 없이도 선물하기, 카카오맵, 예약하기, 멜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 에이전트는 향후 카톡의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연결로 범위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강지훈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온디바이스 AI, '카나나 인 카카오톡'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공개했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필요한 순간 먼저 말을 걸어주는 AI'로, 대화 속에서 필요한 맥락을 이해하고 먼저 카톡을 보내 일정관리, 예약, 구매, 지식검색 등 일상에 필요한 활동들을 제안한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카카오가 직접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인 '카나나 나노(Kanana Nano)'를 활용한다.
김병학 카나나 성과리더는 자체 모델 '카나나(Kanana)'에 대해 "글로벌 모델과 견줄 수 있는 △성능과 효율성 △서비스 특성에 맞는 최적화 △보안과 안전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온디바이스(On-device)와 에이전틱 AI(Agentic AI)로 진화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 2월 오픈소스를 공개한 뒤 5월 업그레이드를 거친 카나나 1.5버전에 대해 "추론 구조의 강화와 함께 MLA(Multi-Head Latent Attention) 기법 및 MoE(Mixture of Experts) 구조를 적용해 2.0버전으로 고도화 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