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인공지능(AI) 자율운항시스템(SAS)을 이용해 태평양 횡단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SAS는 삼성중공업이 2019년 개발한 자율운항솔루션으로 △레이더·GPS·자동식별장치(AIS)와 카메라 영상이 융합된 상황 인지 기술 △충돌 회피를 위한 엔진 및 방향타 자동제어 기술 △주·야간 사각지대 없이 주변을 감시하는 AI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이 집약됐다. 기존 운항 보조 시스템과 달리 SAS는 AI가 홀로 항로를 설계하고 기상 상황에 따라 항로를 조정하기도 하는 '완전자율운항' 기술이다.
SAS는 대만 에버그린사의 1만5000TEU급 컨테이너 운반선에 탑재돼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6일까지 미국 오클랜드부터 대만 가오슝에 이르는 태평양 구간에서 실증에 들어갔다.
시험 결과 약 1만㎞ 구간에서 선원 개입 없이 3시간마다 기상을 분석하고, 기상과 항로 상황에 맞춰 최적 가이드와 선박 자동 제어를 수행해 연료를 절감하고 정시에 맞춰 도착했다.
삼성중공업은 "해상 운송 시 기상 악화 등으로 도착 예정 시간을 엄수하지 못하면 공급망 혼란, 물류비 상승 등 해운사에 큰 손실이 발생한다"며 "기상 상황과 운항 여건을 분석해 정확한 도착을 지원하는 경제적 자율운항 기술이 요구돼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실증을 통해 SAS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삼성중공업은 앞으로도 에버그린사와 함께 AI 자율운항 기술의 공동연구를 지속해 속도 최적화는 물론 항로 최적화 및 연료 효율 최적화까지 수행해 정량적 연비 절감 효과를 높여나갈 예정이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은 "SAS는 충돌 회피를 위한 자율운항보조시스템에서 스스로 경제적인 속도를 유지하며 도착시간까지 시키는 수준으로 진화했다"며 "이를 통해 쓸데 없는 운항 시간을 줄이고 연비 절감을 실현하면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등 친환경 수단으로 글로벌 해운 물류 사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