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 '반독점 규제' 승리?..."이제 시작일뿐' 줄입법 예고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50:13
  • -
  • +
  • 인쇄
美노스다코타주 '2333법안' 무산 불구 CAF '주별 입법'
구글-애플, 앱마켓수수료 30% 챙겨 연간 '36조원' 수익
▲앱개발자들은 구글과 애플의 '과도한 수수료'와 '앱마켓 독과점'에 대항하고 있다. 

'IT공룡' 구글과 애플을 향한 '앱마켓 반독점 규제'가 미국 노스다코타주에서는 무산됐지만 이에 맞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자들이 연합체로 대항하려는 움직임이어서 앞으로 남은 주별 소송전은 불꽃 접전이 예상된다.

노스다코타주 상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앱마켓 반독점 규제를 담은 '2333 법안'을 찬성 11명에 반대 36명으로 부결시켰다. 지난달 발의된 '2333 법안'은 '연간 매출액이 1000만달러(약 110억원)가 넘는 디지털 앱배포 플랫폼 사업자는 앱개발자에게 자신의 플랫폼에서만 앱을 배포하고 결제(인앱)하도록 강요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사실상 구글과 애플을 겨냥한 법안이다.

이 때문에 구글과 애플은 이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철벽방어에 나섰다. 지난 9일 노스다코타주 주의회에 출석한 애플의 에리크 노이엔슈반더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는 "앱스토어에서 나쁜 앱을 퇴출하고자 노력하는데 법안이 통과되면 나쁜 앱이 들어오도록 허용할 수 있다"면서 "정부가 질과 안전성, 신빙성이 떨어지는 물건을 선반에 쌓아두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은 법안"이라고 주장했다. 법안이 부결되어야 하는 이유로 개인정보보호와 앱관리를 내세웠던 것이다. 노스다코타주 의회는 결국 '2333 법안'을 부결했으니, 애플의 논리는 먹힌 셈이다.

그러자 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던 모바일앱 개발자들은 애플과 구글에 다시한번 선전포고를 하며 싸움이 끝나지 않았음을 드러냈다. 팀스 위니 에픽게임스 대표는 16일 자신의 소셜서비스(SNS)에 "앱스토어 독점에 맞서기 위한 노스다코타주의 노력은 소비자와 개발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일"이라며 "앱공정성연합(CAF)은 입법 추진을 위해 홍보와 로비를 하고 개발자들을 조직했고, 에픽도 그 일원이 될 수 있어서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애플과 구글에 맞서기 위한 법 제정을 '앱공정성연합'(CAF)이 주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앱공정성연합'은 에픽게임즈가 주도해서 결성됐지만 현재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업체인 스포티파이, 데이팅앱 '틴더'의 운영사 매치그룹 등이 참여하고 있다. 에픽게임즈는 인기 슈팅게임 '포트나이트' 개발사다. 이 회사가 애플과 구글의 반독점 규제에 앞장서게 된 이유는 지난해 자체 결제시스템을 도입했다가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삭제조치를 당한 때문이다. 이에 에픽게임즈는 즉각 소송을 제기하는데 이어, 앱공정성연합을 결성했던 것이다. 이 연합에 참여하고 있는 소포티파이도 EU경쟁위원회에 애플의 수수료 정책이 과다하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앱 개발사들은 구글과 애플의 수수료 정책이 불공정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앱 결제' 방식으로 수수료 30%를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플랫폼 안에서만 결제하도록 강요하는 것도 모자라 수수료 30%를 요구하는 것은 불공정 경쟁으로 소비자와 앱개발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애플은 앱스토어 운용초기부터 인앱 결제를 의무화하고 30% 수수료를 떼고 있다. 게임앱에만 30% 수수료를 뗐던 구글도 올 10월부터 모든 앱에 30% 수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두 회사가 벌이들인 수익은 지난해 330억달러(약 36조5000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미국 앱분석업체 '센서타워'는 추정했다. CNBC에 따르면 2019년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 수익은 150억달러(약 16조6000원)에 달했다. 구글과 애플 입장에서는 이처럼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주는 수수료를 절대 포기할 수 없다. 이에 따라 '2333 법안' 통과를 기를 쓰고 막아야 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점차 세력화되고 있는 모바일앱 개발자 진영도 이에 결사항전의 기세로 맞설 조짐이다. 이에 IT공룡들과 모바일앱 개발사들의 1차전은 IT공룡들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 조지아·애리조나·매사추세츠·미네소타·위스콘신 등에서도 노스다코타주와 비슷한 법안이 추진중이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법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구글과 애플을 상대로 한 전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CAF도 성명을 통해 "CAF는 앱스토어의 변화를 확인하고 싶다"며 앞으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