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워지는 지구..."2030년 10억명이 굶어죽는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26 07:00:03
  • -
  • +
  • 인쇄
UNDP "기상이변으로 인한 농업피해 심각"
대기오염으로 농작물 영양분 함량도 저하

현재 6억9000만명에 달하는 세계 기아의 수가 2030년에 이르면 10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중 상당수는 기후변화로 인해 굶어죽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유엔개발계획(UNDP, UN Development Programme)은 2030년까지 10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극심한 기근 속에 살 것으로 예상했다. 다시말해 세계 인구 8명 중 1명은 제대로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국제연합(UN) 산하 영양불균형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기구인 'GAIN'(Global Alliance for Improved Nutrition)의 로렌스 하다드 박사는 기아 수가 늘어나는 이유로 '기후변화'를 꼽았다.

하다드 박사는 "식량 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 불확실한 산업"이라며 "우리는 기후에 대해서도 걱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식량 생산과정은 강우, 태양 및 폭풍 등 기후에 크게 의존한다"고 덧붙였다.

▲아프리카 케냐 북부를 덮친 메뚜기떼가 나무에 빽빽하게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농업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특히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아프리카 지역은 가뭄으로 증가한 메뚜기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1㎢당 8000만 마리가 넘도록 빽빽하게 무리지어 다니는 메뚜기떼는 지나가는 자리의 모든 작물과 식물을 먹어치운다. 한 무리가 먹어치우는 작물이 사람 3만5000명분의 식량에 달하는 양이다. 국내 역시 지난해 기록적인 폭우로 6000헥타르(ha) 이상의 농지가 침수되고, 가축 30만 마리가 폐사하는 등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계속 나타나는 기상이변은 높아진 지구의 온도와 연관이 있다"며 "온난화 등 기상이변이 증가할수록 농업의 피해는 커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하다드 박사는 "기후변화는 절대적인 식량의 양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식품의 영양품질까지 변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기오염으로 높아진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주요 작물의 영양분 함량을 저하시키는 증거가 나왔다"고 덧붙였다. 다시말해 배가 부르도록 많이 먹어도 적절한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하다드 박사와 23명의 세계식품상(The World Food Prize) 수상자들은 미국 정부에 식량생산 방식을 바꾸고 세계 기아를 종식시키는 데 앞장설 것을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세계식품상은 세계 음식의 품질·수량·가용성을 개선하는 연구성과를 인정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수상자들은 "식량시스템 변화와 기아문제 해결에 대해 전세계적인 욕구가 강하다"며 "이 순간을 포착하고 2030년까지 기아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 및 협력에 투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