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SK온' 석유개발 'SK어스온'...SK이노베이션 자회사로 출범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10-01 15:38:31
  • -
  • +
  • 인쇄
SK온 대표는 지동섭...SK어스온 대표는 명성
SK이노베이션 100% 자회사로 1일 공식출범
▲ SK어스온의 명성 사장(좌)과 SK온의 지동섭 사장

SK이노베이션에서 물적분할한 'SK온'(SK on)과 'SK어스온'(SK earthon)이 10월 1일자로 공식 출범했다. SK온은 배터리 사업을 담당하고, SK어스온은 석유개발(E&P) 사업을 담당한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8월 3일 이사회에서 두 사업을 신설법인으로 물적분할하기로 의결하고 9월 16일 임시주주총회에서 80.2% 찬성률를 얻어 이를 확정한 바 있다. 이 신설법인들은 모두 SK이노베이션의 100% 자회사가 된다.
 
배터리 사업을 이어가는 'SK온'은 '켜다' '계속된다'는 중의적 표현으로 회사명에 'on'을 붙였다. SK이노베이션은 이 사명에 대해 "배터리 사업으로 깨끗하고 편리한 세상을 만드는 전동화의 핵심(Electrification Linchpin) 역할을 통해 글로벌 넘버1으로 도약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SK온'···배터리 글로벌 넘버원 목표

SK온의 대표이사는 지동섭 사장이 맡는다. 지동섭 사장은 1990년 유공으로 입사해 SK텔레콤 미래경영실장, 전략기획부문장을 지낸 '전략통'이다. 지난 2016년 12월 SK루브리컨츠 사장으로 선임된 이후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과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왔다. 이어 2019년 12월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 대표로 선임돼 배터리 사업 글로벌 성장을 이끌고 있다.

지 사장은 "SK온은 가장 안전하고, 가장 빠르고, 가장 오래가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시장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독자경영 시스템을 구축, 사업 전문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전기차 배터리 산업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도약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990년대초부터 연구를 시작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은 본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한 2017년 이후 매년 2배 이상의 성장을 거듭해왔다. SK이노베이션은 앞으로 'SK온'을 통해 2030년까지 배터리 분야 글로벌 선두업체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SK의 배터리 생산능력은 전세계적으로 연간 40기가와트시(GWh) 수준이다. 이를 2023년까지 85GWh 늘리고, 2025년까지 220GWh 그리고 2030년까지 500GWh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 SK가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와 설립한 합작법인 블루오벌SK가 앞으로 생산하게 될 배터리 캐파 129GWh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같은 확장세에 힘입어 SK의 누적 수주량은 현재 1000GWh를 훌쩍 뛰어넘었다.

배터리 생산에만 머물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플라잉 카(Flying car), 로봇 등 배터리가 탑재되는 다양한 시장에 신규 시장하는 한편 배터리 서비스 플랫폼 사업(Battery as a Service: BaaS)까지 영역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SK어스온···그린 비즈니스 본격 확장

석유개발(E&P) 사업을 담당하게 되는 'SK어스온'(earthon)의 회사명은 지구, 땅을 뜻하는 '어스'(earth)와 계속을 의미하는 '온'(on)의 합성어다. SK이노베이션은 "SK어스온은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자원의 가치를 실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약속하는 그린 비즈니스의 희망을 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이사로 선임된 명성 사장은 지난 1995년 유공으로 입사해 석유개발(E&P) 사업 보고타지사장, 탐사사업 관리팀장 등을 지낸 석유개발 전문가다. 2019년 SK이노베이션 행복경영실장을 거쳐 2021년부터 석유개발(E&P) 사업 대표로 선임돼 사업경쟁력 강화 및 그린사업 발굴을 진두지휘해 왔다.

명 사장은 "독립법인으로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다양한 성장 옵션을 실행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새로운 성장축인 그린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발굴하고 이를 반드시 성공시켜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SK어스온은 향후 오랜기간 축적한 석유개발 사업경험 및 역량을 활용해 탄소배출 최소화와 감축을 목표로 친환경 그린 포트폴리오를 구축해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석유생산 유전에서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설비 구축 및 운영과 함께 CCS(Carbon Capture & Storage: 탄소 포집∙저장기술) 사업을 통해 탄소를 영구 처리할 수 있는 그린 비즈니스 분야로 본격 확장해 가기로 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전사가 강력하게 추진해온 포트폴리오 혁신의 구조적 완성을 이뤘다"며 "이제는 여덟개 사업회사 체제를 기반으로, 파이낸셜 스토리를 강력히 실행하면서 ESG경영을 더욱 강화해 'New SK innovation'의 기업가치를 만드는 새로운 60년 역사를 출발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포장재 종이로 교체 'ESG 강화'

이번 추석 선물세트 시장에서 현대백화점은 과일세트 포장을 100% 종이로 전환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현대백화점은 기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K-컬쳐 뿌리 '국중박' 하이브와 손잡고 글로벌로 '뮷즈' 확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반려호랑이 '더피'의 굿즈를 판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핫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방탄소년단(BTS)의 하

하나은행, 美글로벌파이낸스 선정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수상

하나은행은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誌)'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

LG생활건강, 청년기후환경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 활동 성료

LG생활건강이 자사의 청년기후환경활동가 육성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YOUTH)'가 2025년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지

쏟아지는 추석선물세트...플라스틱·스티로폼 포장 '여전하네'

추석을 맞아 다양한 선물세트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 선물세트들

쿠팡 '납치광고' 반복한 파트너사 10곳 형사고소...수익금 몰수

쿠팡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납치광고'를 해온 악성파트너사 10곳에 대해 형사고소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납

기후/환경

+

스위스 빙하, 2015년 이후 1000개 사라졌다...'전체의 25%'

스위스 빙하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2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빙하연구소(GLAMOS) 연구팀은 2015년 이후 스위스 빙하가 약 25% 사라졌다

10억달러 피해 입힌 '괴물산불' 43%가 최근 10년에 발생

피해 금액이 10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산불의 약 절반이 최근 10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2일(현지시간) 칼럼 커닝햄 호주 태즈메이니아대학 박

"고기는 일주일 한번"...'지구건강식단' 하루 사망자 4만명 줄인다

고기를 적당히 먹어도 식량 부문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하루 전세계 사망자를 최소 4만명씩 줄일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2일(현지시간) 요

유럽의 녹지, 매일 축구장 600개만큼 사라진다

유럽 대륙의 녹지가 개발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영국과 유럽 전역의 위성 이미지를 분석한

기후대응 촉구한 교황...트럼프 겨냥한듯 "지구 외침에 귀기울여야"

교황 레오 14세가 사실상 기후회의론자들을 겨냥해 "지구의 외침에 귀를 기울이라"며 일침을 가했다.교황은 1일(현지시간) 로마 바티칸에서 열린 생태

"산불특별법, 산림 난개발 우려...대통령 거부권 행사해야"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산불방지법'에 대해 환경단체들이 반발하면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그린피스 서울사무소, 환경운동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