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배출량 전과정평가(LCA) 시스템으로 95%까지 추적 가능"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30 17:02:33
  • -
  • +
  • 인쇄
▲현대자동차 탄소중립혁신팀 홍성준 팀장 ⓒnewstree

"현대차는 전과정평가(LCA)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95%까지 추적할 수 있다."

홍성준 현대자동차 탄소중립혁신팀장은 30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주최로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LCA) 포럼'에서 '현대자동차 2045 탄소중립 방향'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밝히며, 현대차가 LCA를 왜 도입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설명했다.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는 자동차의 원료부터 제조, 운행,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해 평가하는 것이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자동차 주요 제조국에서는 이미 이에 대한 평가방법을 마련하는 등 관련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홍 팀장은 "204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현대자동차는 전사적으로 LCA 시스템을 통해 차량 생산부터 폐차까지 전 과정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현대차·기아는 자동차 라이프 사이클 기반의 탄소배출 분석으로 전체 배출량의 약 95%까지 추적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이를 위해 사내 탄소관리 시스템 '이지스'(EGIS)를 올 4월 구축했다. 아울러 부품단위 감축 목표를 설정해 협력업체와 연계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홍 팀장은 "차량을 개발할 때 부품의 탄소배출량을 미리 측정하고, 감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납품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자동차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이런 방식으로 감축한다고 해도 모든 차량이 전동화되는 2045년에도 차량 1대당 4.5톤의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탄소는 대부분 부품과 소재 등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기차 시대에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선 탄소흡수·상쇄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홍 팀장은 말했다.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등 해외에 있는 현대차의 협력사들은 LCA 인프라와 기술 이해도가 부족하고 탄소중립 달성 목표 기간이 2050년 또는 2060년이기 때문에 배출량 관리가 어렵다는 애로사항이 있다. 실제로 2023년 기준 현대자동차가 탄소배출량 가운데 16.3%가 스코프3에 해당하는 공급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상황에 따라 상황이 달라지는 것도 변수로 꼽았다. 홍 팀장은 "북미도 한때 탄소중립에 적극적이었지만 정권이 바뀌면서 배출 저감 정책이 지연되는 등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했다.

반면 유럽은 LCA 기반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는 2024년부터 LCA 점수가 기준치를 넘는 차량은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 홍 팀장은 "한국에서 생산된 전기차는 유럽산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그렇다고 무작정 유사한 제도를 도입할 게 아니라 업계가 준비할 수 있는 유예기간과 인프라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앞으로 글로벌 부품데이터시스템(IMDS)에 제품 탄소발자국(PCF)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