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에서 열린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기후특위) 전체회의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 "마지막 미세 조정중"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18일 국회 기후특위 전체회의에서 기후에너지부 신설 추진 과정에 대한 김종민 무소속 의원 질의에 "큰 틀은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간 협의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대체로 정리가 된 것으로 알 고 있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가장 예민한 문제라고 설명하면서 "약간의 미세 조정해야 할 부분이 조금 남아 있는 것 같다"며 "큰 틀에서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간 협의가 있었고, 대통령실이 책임 있게 마지막 미세 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국정위가 지난 13일 발표한 국정과제 대국민 보고 대회에서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포함한 정부 조직개편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해 에너지를 전환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혀왔기 때문에 환경단체 등 일각에서는 탄소중립 정책 추진 동력이 약해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국정위는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을 환경부로 이관해 환경부를 기후환경에너지부로 확대하는 안과 환경부 기후정책실과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을 통합해 별도의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안을 두고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두 안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만 대통령선거 때 국민과 한 약속이 있고 그 취지에 맞게 효율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체로 전 세계적인 추세가 기후를 총괄하는 부서와 에너지 부서를 같이할 때 탄소저감에 훨씬 효과적이라는 세계적 통계에 맞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국회 기후특위는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새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기존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사임하면서 '위원장 사임의 건'과 '위원장 선임의 건'을 각각 가결했다. 위 위원장은 선임 직후 "우리는 더 이상 기후 위기를 미래 문제로 유예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2035 NDC를 과학적 근거에 따라 진취적으로 설정하고 배출권거래제를 전면 강화하고 재생 에너지 목표를 대폭 상향 조정해야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