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송배전망에 접속하지 못해 생산한 전력을 판매하지 못하는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을 위해 연말까지 437메가와트(MW) 규모의 재생에너지 접속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에서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등과 함께 △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지역 단위 계통 운영역량 강화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방안 등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를 위한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우선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 신청한 소규모 사업자들이 전력망 부족으로 접속 대기중인 경우가 많은데 이를 연내 해소하기로 했다. 소규모 발전사업자를 늘려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기중인 사업자를 지역별, 시기별로 분석하고 접속지연 문제를 맞춤형 대책으로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계통포화로 변전소 부족을 겪고 있는 전북과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지역에는 설비증설 자재확보, 변전소 입지 확정 등을 신속하게 추진해 접속이 시급한 437MW 규모에 대해 연내 접속을 추진하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기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인버터의 지속운전성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 고장으로 인한 전압, 주파수 변화에도 재생에너지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연내 성능 규정을 강화하고, 신규 설비 및 기설 설비의 성능구비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지역단위 계통운영 역량도 고도화한다. 올 6월 1차 정보연계에 이어 배전망 제어 정보의 연계를 더욱 고도화하는 2차 연계를 시행한다. 발전량 실측, 발전량 추정, 자가용 태양광 설비 등의 정보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전력 설비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라며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