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6 14:23:14
  • -
  • +
  • 인쇄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

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즐랜드주의 열대우림이 탄소 흡수원에서 배출원으로 바뀌었다고 보고했다. 산림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은 세계 최초다.

나무는 자라면서 탄소를 저장하고, 죽은 후 썩을 때 방출하는데, 새로 자라는 나무보다 죽는 나무가 더 많아지면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대표적인 탄소 흡수원으로 여겨지는 열대우림은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것보다 더 많이 흡수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면 또 그만큼 흡수량이 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약 50년에 걸쳐 퀸즐랜드 전역의 산림 1971곳에서 1만1000여그루의 나무를 추적 분석한 결과, 숲의 탄소배출량이 흡수량을 넘어서는 현상은 약 25년 전부터 나타났다. 분석은 나무의 줄기와 가지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토양과 뿌리의 영향은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러한 열대우림의 변화가 지구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 수석저자인 한나 칼 웨스턴시드니대학 박사는 "산림이 이런 변화를 보이는 경우는 세계 최초"라며 "호주의 열대림은 다른 대륙의 열대림에 비해 기후 조건이 약간 더 따뜻하고 건조해 이러한 현상이 비교적 먼저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칼 박사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세계 다른 열대림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전망에 대해 연구 공동저자인 아드리엔 니코트라 호주국립대학 교수는 "아직 알 수 없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호주에서 일어난 현상이 다른 열대림에서도 발생할 경우, 글로벌 기후모델, 탄소예산 및 기후정책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대부분의 기후모델과 정책은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안정적이라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데이비드 캐롤리 호주 멜버른대학 명예교수는 "다른 열대우림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된다면 기후 예측이 미래의 지구온난화를 과소평가한 셈"이라며 "숲의 탄소 흡수력이 감소한다는 것은 배출량 감축이 훨씬 더 어려워지고, 그만큼 화석연료를 더 빠르게 폐지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CO₂ 농도 사상 최고치…WMO “기후시스템,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후시스템이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15일(현지시간) AP통

200개 마을이 고립됐다...멕시코 몇일째 폭우로 피해 속출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멕시코 중부와 동부 지역을 강타하며 최소 66명이 숨지고 75명이 실종됐다.1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중

기후변화에 英 보험시장도 '지각변동'..."주택 수백만채 버려질 것"

기후변화로 홍수가 잦아지면서 미국에 이어 영국의 주택보험 시장도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영국 보험업계 분석을 인용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