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줄에서 '100% 친환경 플라스틱' 실마리 풀었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6-29 16:13:45
  • -
  • +
  • 인쇄
英 케임브리지대학 투오마스 놀즈 교수 연구팀
거미줄 '단백질 배열' 복제해 '폴리머 필름' 개발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단백질의 특성을 본딴 '친환경 플라스틱'이 개발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는 투오마스 놀즈(Tuomas Knowles) 교수 연구팀이 거미줄의 특성을 모방해 '폴리머 필름'을 개발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팀은 "자연에서 만든 가장 강력한 소재 중 하나"라며 "이 제품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 플라스틱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이 처음부터 친환경 플라스틱을 개발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수년간 불규칙한 단백질 상호작용이 미치는 알츠하이머 질병에 대해 연구하던 도중, 거미줄의 단백질이 강하고 질긴 이유를 발견했다. 수소결합을 통해 만들어지는 거미줄은 강철보다 강도가 강하다. 연구팀은 거미의 몸밖으로 나오면서 매우 강력한 섬유로 자기조립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에 연구팀은 콩 단백질로 거미줄 단백질 기능을 복제하는 방법을 찾는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바로 친환경 플라스틱인 '폴리머 필름'이다. 일명 '거미줄 플라스틱'이다. 수석 연구원인 투오마스 놀즈 화학과 교수는 "거미줄 플라스틱은 고성능 플라스틱과 성능이 똑같다"면서 "거미줄처럼 규칙적인 배열로 플라스틱 강도가 생성됐기 때문에 화학적인 가교제가 들어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거미줄 플라스틱'은 친환경 물질이다보니 자연환경에서 분해된다. 옥수수 전분이나 사탕수수, 코코넛 등 지금까지 개발된 친환경 플라스틱은 대부분 온도와 습도, 미생물 등 특정조건을 갖춘 환경에서만 분해됐다. 그러다보니 국내에서는 이런 친환경 플라스틱을 분해할만한 곳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이런 친환경 플라스틱들은 100% 친환경 소재도 아니다. 한 환경 전문가는 "대부분의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들은 내열성을 갖기 위해 화학물질을 첨가한다"면서 "결국 100% 생분해는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거미줄 플라스틱'은 콩 단백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100% 친환경 소재여서 자연조건에서 분해된다.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삼플라(Xampla)는 거미줄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다양한 캡슐과 일회용 봉지 등을 올연말 상용화할 예정이다. 로드리게스 가르시아(Rodriguez Garcia) 연구원은 "전세계가 플라스틱 오염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에 대해 뭔가 할 수 있는 행운을 얻은 것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지난해 ESG경영활동 5.5조 사회적 가치창출

하나금융그룹의 지난해 ESG 경영활동이 약 5조5359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측정됐다.하나금융그룹은 18일 발간한 '2024 ESG 임팩트 보고서'를

LG화학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지' 공모전 개최

LG화학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함께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지'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배출 저감

LG전자가 시스템에어컨 제조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공법을 적용해 탄소배출을 저감한다LG전자는 최근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ÜV Rhei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기후/환경

+

제주 '은갈치' 사라지나?…온난화에 어획량 3분의 1로 '뚝'

기후변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제주 은갈치 어획량이 3분의 1로 줄어들었다.18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제주 대표 특산 어종인

"韓 화석연료 비중 60%...못 벗어나는 이유"-英 가디언의 진단

한국이 전력생산의 60%를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이유가 철강과 조선 등 에너지 집약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데다, 전력시장의 독점 구조와 재생에너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 "기후위기 대응 허브가 돼야"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은 취임일성으로 "기상청이 과학기반 기후위기 대응 허브가 되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18일 밝혔다.전날 임명된 이 청장은 이재명

[영상] 폭염·강풍이 키운 '산불'…스페인·포르투갈 1주일째 '활활'

1주일전 스페인과 포르투칼에서 발생한 산불이 45℃에 달하는 폭염과 강풍을 타고 계속 번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