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에이즈에 200만그루 고사...'재선충병' 전국 확산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6 10:08:54
  • -
  • +
  • 인쇄
부산·포항 등 영남 동해안 심각
▲경남 밀양시 소나무들이 재선충병에 걸려 말라죽은 모습 (사진=녹색연합)

200만 그루 이상의 소나무가 재선충병에 걸려 2014년보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녹색연합은 "6월부터 현장조사를 벌인 결과 전국에 소나무재선충병이 퍼지는 것이 확인됐다"라면서 "상황이 가장 심각했던 2014년과 비슷하거나 더 심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에 기생하는 재선충의 감염에 의해 소나무가 말라죽는 병이다. 치료약 또한 없다. 

1988년 소나무재선충병이 국내에 유입된 뒤 도로나 철도 주변에서 병에 걸린 소나무가 관찰된 적은 거의 없는데 현재는 관찰되고 있는 것이다.

▲소나무 재선충 현미경 사진(사진=산림청)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세가 가장 심한 곳은 부산부터 경북 포항시까지 영남 동해안이다. 경북 경주시의 경우 남산 등 세계유산과 문화재보호구역 내에서도 병이 확산하고 있다. 

동해안뿐 아니라 대구나 경북 고령·의성·안동 등 내륙지역을 비롯해 영남 전역에서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가 확인되고 있다.

녹색연합은 "서울춘천고속도로나 철도 중앙선을 따라서 수도권과 강원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히 퍼지고 있다"며 "이같은 확산세는 올봄부터 확인됐으나 산림당국과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망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도시의 벌집 분석했더니...'미생물 정보' 고스란히 담겨

꿀벌로 도시의 미생물 분포를 추적하고, 이 정보를 공중보건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탠던 이공과대학교 엘리자베스 에나

'닭발 가로수' 사라지나...환경부 "가로수잎 75% 유지해야"

나무 몸통만 남을 정도로 가지를 싹둑 자르는 무분별한 가지치기를 제한하는 지침이 생겼다.31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가로수 가지치기를 할 때

식물도 소리를 낸다고?...물부족하거나 줄기 잘리면 '딸칵' '펑'

식물도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은 식물이 물이 부족하거나 갑작스러운 손상을 입는 등 스트

친환경 가구부터 대체육까지…'커피박' 어디까지 변신할까?

식후커피를 즐기는 직장인 A씨는 점심을 먹은 뒤 챙겨온 텀블러를 들고 커피 전문점을 찾았다. 그런데 A씨는 문득 점원이 '커피 찌꺼기'를 처리하는 모

차량 배기필터 의무화됐지만...'초미세먼지' 못거른다

차량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초미세먼지는 거의 거르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로이 해리슨(Roy Harrison) 영국 버밍엄대학

석유·천연가스 위험 간과한 손보사...9곳중 8곳 보험·투자정책 '0점'

기후리스크가 최대의 안보·경제 위협으로 지목받는 가운데 국내 손해보험사는 석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보험 인수심사나 투자정책을 갖추지 못한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