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4-30 14:50:40
  • -
  • +
  • 인쇄
▲ 2022년 비가 쏟아져 진흙탕이 된 스프렌더 인 더 그래스(Splendour In The Grass) 뮤직 페스티벌 (사진=게티이미지 Matt Jelonek)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직 페스티벌에서 관중이 이상기후를 겪는 법' 보고서에 따르면, 예측할 수 없는 이상기후가 야외 뮤직 페스티벌 침체에 잠재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호주 북동부 해안지역은 열대저기압 폭풍 사이클론 '알프레드'가 상륙한다는 소식에 일주일 사이에 26개 야외음악 행사가 취소됐다. RMIT의 캐서린 스트롱 교수는 "기후위기는 이미 야외 음악행사에 큰 위협이 됐고, 공연 산업에 급격한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빅토리아주,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등에서 뮤직 페스티벌을 비롯한 야외공연에 참여한 18세에서 60세 약 115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조사에 따르면, 야외공연 티켓 구매를 결정하기 전에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사람의 비율이 29%에 달했다. 이상기후로 티켓 구매에 더 신중해졌다고 응답한 사람은 34%였다. 야외공연을 자주 찾는 사람일수록 이 비중은 44%로 증가했다.

스트롱 교수는 "기후위기로 최근 몇 년간 소비자 행동이 크게 바뀌어 공연 관람객이 구매를 고민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호주의 주요 뮤직 페스티벌 중 일부가 조기 티켓 판매 부족으로 취소됐다"고 밝혔다. 2024년에는 세계적인 페스티벌 스프렌더 인 더 그래스(Splendour In The Grass)와 그루빈 더 무(Groovin the Moo)가 조기 티켓 판매가 저조하다는 이유로 모두 취소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33%는 기온이 35도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면 뮤직 페스티벌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고, 지난 12개월동안 축제에 참여한 사람 중 85%가 홍수, 폭풍, 폭염, 산불 등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야외에서 열리는 뮤직 페스티벌보다 실내공연장이나 경기장에서 열리는 대규모 콘서트 티켓만 구매하는 등 '더욱 안전한' 옵션을 선택했다.

뮤직 페스티벌은 인디밴드 등 신인 아티스트들에게 무대에 설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위축되면서 새로운 아티스트가 공연을 할 기회도 사라지고 있다.

호주 인디 록 밴드 스페이시 제인의 베이시스트 페파 레인은 "하루종일 공연이 취소되다가, 날씨가 풀리면 다시 페스티벌을 시작하곤 했다"며 "한 시간짜리 공연에서 날씨 때문에 세 곡만 연주한 적도 있다"고 했다. 그는 뇌우, 폭우 등으로 공연이 취소됐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당장 뮤직 페스티벌이 할 수 있는 조치는 더위 쉼터 조성, 홍수 방지 무대 구조 마련, 음수대 설치 등이고, 결국 뮤직 페스티벌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