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말로만 탈석탄'...석탄발전 투자로 건강피해액 1.4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0 16:45:57
  • -
  • +
  • 인쇄
폐질환, 뇌졸중 유발...2년간 조기사망자 1968명
총 피해액 12.9조원 "국민연금 지분 11%로 추산"
▲영흥화력발전소 (사진=한국남동발전)


'탈석탄 선언'을 했던 국민연금이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면서 대기와 국민건강에 끼친 피해액을 추산하면 1조원이 넘는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기후솔루션과 핀란드 대기환경연구단체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가 공개한 '국민연금의 언행불일치 탈석탄, 대기오염‧건강피해 요인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 2021년 5월 '탈석탄' 선언이 무색하게 그동안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에 투자해왔고, 이로 인해 발생한 대기오염물질로 국민건강에 끼친 피해액이 1조4000억원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연구는 산업표준 배출확산모델인 칼퍼프(CALPUFF) 모델링 시스템으로 2021~2022년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이산화황(SO2), 질소산화물(NOx) 등 초미세먼지(PM2.5) 크기 오염물질의 90%를 추적했다. 그 결과, 각종 유해물질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 당뇨병, 뇌졸중 등을 유발해 전국적으로 1968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망에 이른 경우가 아니더라도 해당기간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로 어린이 천식 신규 발생 580건, 미숙아 출산 280건, 천식관련 응급실 진료 560건, 병가 80만일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국민연금의 석탄 투자가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료=기후솔루션)


이처럼 2021~2022년 우리나라에서 석탄화력발전소의 대기오염으로 발생한 건강피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12조9000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11%에 해당하는 약 1조4000억원이 국민연금의 석탄발전소 투자로 인한 것이라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연구팀은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방법에 기반해 국민연금의 기여 정도를 분석했다. 대구대학교 회계학과의 정준희 교수가 연구방법론의 문제가 없는지 검증했다.

건설단계인 것을 포함해 국내 총 15개 석탄발전소 가운데 11개 발전소는 한국전력공사가 지분 100%를 소유한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등 5개 발전회사가 운영한다. 국민연금은 주식 및 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여전히 이곳 '석탄기업'들에 투자하고 있다.

11% 비중을 각종 건강피해에 대입하면 조기사망 220건, 어린이 천식 신규 발생 67건, 미숙아 출산 32건, 천식 관련 응급실 진료 약 63건, 병가 9만690일 등이 국민연금의 석탄투자로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국민연금 석탄 투자에 기인한 발전소별(지역별) 건강피해와 경제적 비용. (자료=기후솔루션)


이같은 건강피해는 석탄발전소가 가까울수록, 또 발전용량이 클수록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인근에서 가장 많은 조기사망자를 발생시킨 석탄화력발전소는 26명의 희생자를 낳은 6400메가와트(MW) 용량의 태안화력발전소였다. 이어 6040MW 용량의 당진화력발전소에서 23명, 5080MW 용량의 영흥화력발전소에서 18명 순이었다. 경제적 피해는 각각 1550억원, 1421억원, 1124억원이다.

기후솔루션은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국제사회에 약속한 바와 같이 산업화 대비 1.5℃ 이내로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억제하고, 국민건강에 대한 막대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이 말뿐인 탈석탄 선언에서 나아가 하루빨리 석탄 투자 제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고서의 주 저자인 CREA의 라우리 밀리비르타(Lauri Myllyvirta) 연구원은 "국민연금이 이런 석탄발전으로 말미암은 피해의 책임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선 지금이라도 석탄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수탁자 책임 활동 기준을 수립하고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후솔루션의 한수연 연구원은 "국민연금이 석탄기업을 분류하는 정량 기준을 발전기업의 경우 발전량 비중 기준 최소 30%로 설정하고 지속해서 강화해야 비로소 진정한 탈석탄 선언을 했다고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파리기후협약에서 도출된 1.5℃ 목표를 위한 기후행동에 적극 나서는 것은 국민이 주인인 공적 연기금으로서 당연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