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탈화석연료 네트워크 '화석연료를 넘어서'가 당진 LNG 터미널 확장 공사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는 공식 서한을 한국가스공사에 전달했다.
15일 '화석연료를 넘어서(KBF, Korea Beyond Fossil fuels)'는 한국가스공사의 당진 LNG 터미널 확장 사업이 기후위기를 가속화하고 국가와 지역경제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며 공동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당진 LNG 터미널이 자리한 당진환경운동연합·충남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전국 기후환경 단체 30여 곳이 결성한 연대체다.
한국가스공사가 추진하는 당진 LNG 터미널 확장 사업은 충남 당진 석문국가산업단지 내에 총 270만 킬로리터(kl) 규모의 LNG 저장시설을 건설하려는 계획이다. 이는 한국의 LNG 터미널 증설 계획 중 약 40%를 차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확장 사업이다. 현재는 2031년 완공을 목표로 2~3단계 확장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2단계 공사의 건설용역 계약 발주가 예정돼 있다.
그러나 이 같은 LNG 터미널의 확장은 중앙 정부의 LNG 감축 정책뿐 아니라, 정치권과 지역 정부의 입장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 올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의 대선 후보들은 입을 모아 LNG 의존도를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당진 LNG 터미널이 위치한 충청남도 지자체에서도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9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LNG는 석탄보다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연료로 간주되지만 채굴·운송·저장 과정에서 메탄이 대량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발전용 LNG 비중을 2023년 26.8%에서 2038년 10.6%로 감축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더불어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초대형 LNG 터미널은 중대한 투자 리스크를 안고 있는 사업으로 평가된다. 2019년 실시된 당진 LNG 터미널의 예비타당성 조사는 LNG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이후 국내외 수요 전망은 증가가 아닌, 명확한 감소 추세로 전환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23년 발표한 제15차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에 따르면 국내 LNG 수요는 2023년 4509만톤에서 2036년 3766만톤으로 15% 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2021년 발표한 '넷제로 시나리오'에서 신규 유전 및 가스전 개발은 불필요하다는 점을 명시했다. 이러한 수요 전망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 채 확장이 강행될 경우, 당진 LNG 터미널의 좌초자산 위험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정부 및 정치권의 기조와 시장 환경에도 불구하고, 한국가스공사는 탄소중립 목표시점인 2050년을 넘어 2061년까지 당진 LNG 터미널을 운영할 계획을 밝힌 상태다. 특히 최근에는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이후에도 해당 사업의 2단계 확장 계획이 승인된 사실이 드러나며, 공기업의 정책 역행에 대한 비판을 더욱 키우기도 했다.
이에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이번 서한을 통해, 올해 상반기로 예정된 2단계 공사 발주에 앞서 사업의 타당성과 정책 정합성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한국가스공사에 요구했다. 아울러 공기업의 탄소중립 책무 이행을 위해서라도 가스 설비에 대한 과도한 신규 건설은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