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서식지 '가나 람사르 습지'...의류쓰레기 무더기 매립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8 18:19:07
  • -
  • +
  • 인쇄
▲가나 덴수 강 매립지에서 발견된 자라 청바지 (사진=Michael Takyi Lartey, 언어스드(Unearthed), 그린피스)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아프리카 가나 '람사르 습지'에서 자라(Zara), 에이치앤엠(H&M), 프라이마크(Primark) 등 패스트패션 의류쓰레기들이 대량으로 매립돼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의류쓰레기들은 지역주민들이 이용하는 물길과 어망, 해변까지 뒤덮고 있다.

18일(현지시간) 그린피스 아프리카와 언어스드(Unearthed)는 '람사르 습지'가 있는 가나 수도 인근 '덴수 델타보호지역'에서 의류쓰레기 매립지 3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매립지에서 자라(Zara), H&M, 프라이마크(Primark), 넥스트(Next), 조지(George), 엠앤에스(M&S) 브랜드의 의류폐기물이 대량으로 발견됐다.

가나 '덴수 델타 람사르 습지'는 멸종위기종인 장수거북과 푸른바다거북이 서식지로 유명하다. 갯벌에는 희귀종인 장수제비갈매기와 마도요가 살고 있다. 람사르 습지는 희귀하고 독특한 습지 유형을 보이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해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이런 습지는 협약에 의해 보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곳에 의류쓰레기를 묻었던 것이다. 

▲ 4년 된 가나 글레페 매립지를 하늘에서 본 모습 (사진=Samuel Baidoo, 언어스드(Unearthed), 그린피스)


원래 매립지는 지하수 모니터링을 비롯한 폐기물에서 비롯된 오염수를 처리하는 시스템, 가스를 추출하고 배출량 한도를 관리하는 시스템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나 람사르 습지에 있는 매립지는 폐기물 더미가 맨땅에 쌓여있고, 오염을 관리하는 시스템도 없었다. 매립지로서 갖춰야 할 기준을 전혀 충족하지 않았던 것이다.

매립지를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 웨이자 그바웨는 언어스드(Unearthed)에 매립지 감독을 맡겼다고 했지만, 언어스드는 람사르 보호 습지에 새로운 매립지를 건설하는 것은 가나의 환경정책 및 매립지침, 람사르 협약에 따른 의무를 위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나는 매주 1500만개의 중고의류가 전세계에서 유입되고 있다. 유입되는 중고의류의 40%는 찢어지거나 얼룩져 있고, 아프리카에서 입을 수 없는 두꺼운 옷이어서 재사용이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상품가치가 없는 중고의류는 그대로 폐기물이 된다. 이 의류폐기물은 쌓이고 쌓여서 해변가에 산을 이루고 있고 물길을 따라 널브러져 있다. 강과 바다 주변이 거대한 옷무덤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가나 수도 아크라의 솔로몬 노이 폐기물 관리국장은 "매일 100톤의 의류가 시장에서 폐기물로 배출되지만, 아크라시는 이 중 30톤만 수거하고 처리할 수 있어, 나머지 70톤은 쓰레기 매립장, 배수구, 습지, 바다 등으로 버려진다"고 말했다.

습지 근처에 사는 세스 테테는 "3년 전부터 의류쓰레기를 강에 버리기 시작했다"며 "이제 그물을 던지면 물고기뿐 아니라 옷과 다른 쓰레기가 들어온다"고 말했다. 그는 "예전에는 강물을 마실 수 있었지만, 이제 검은 물이 되어버려서 강물을 마실 수도 없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기후/환경

+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