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극한호우'...왜 충청과 남부에 비구름대 몰리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8 12:05:11
  • -
  • +
  • 인쇄
▲ 17일 폭우로 물에 잠긴 충남 공주시 사곡면의 한 도로. (사진=연합뉴스)

지난 16일부터 충청권과 남부지역을 강타하고 인명피해까지 낸 폭우의 원인이 지구온난화로 심화된 '대기의 강'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18일 기상청에 따르면 16~18일 일부 지역에서 1년치 비의 3분의 1이 불과 이틀 사이에 쏟아졌다. 서해와 접한 전남과 충남에는 최대 400㎜ 이상의 비가 내렸다.  1시간 기준으로 서산에 내린 비는 500년만에 한 번, 홍성은 300년만에 한번 내릴 수준이다.

16~18일 오전 8시 기준 누적 강수량은 충남 서산과 홍성 519.3㎜와 437.6㎜, 전남 나주 445.5㎜, 광주 442.2㎜ 등이다. 전북 순창에는 344.4㎜, 충북 청주에는 315.6㎜, 대전에는 234.6㎜, 경남 밀양에는 158.0㎜, 서울에는 151.4㎜의 비가 내렸다.

기상청에 따르면 서태평양 해역에서 중국, 동중국해를 거쳐 대량의 수증기가 한반도로 유입됐다. 이 수증기가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부딪혀 우리나라 동서를 관통하는 비구름을 형성한 것이다. 이 비구름이 16~17일 충청권과 경기 남부 지역에 정체하면서 막대한 양의 비를 쏟았다.

현재는 서해상에서 비구름대가 유입되고 있어 오는 19일까지 시간당 강우량 30∼80㎜의 집중호우가 쏟아질 수 있다. 제주와 남부지방은 일본 동쪽 해상에서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고기압 경계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풍이 유입돼 19일 밤까지 비가 내리겠다.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등 중부지방은 정체전선 영향으로 20일 아침까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는 서해 남부 해상에서 수도권까지 구름대가 형성돼있다"며 "이 비구름이 점차 남쪽에서부터 영향을 가해 남부 지역에 비가 내리고, 이후 비구름이 북상하면서 소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이 비구름이 '대기의 강'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대기의 강은 수증기가 좁은 구역에 집중되는 현상으로, 예전에는 가는 띠처럼 형성됐지만 최근 해수온과 대기온도 상승으로 대기 중 수증기가 증가하면서 점점 거대해지는 양상이다. 하지만 기상청은 대기의 강이라는 의견에 "그것은 극히 일부의 의견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다.

지난해 지구의 수증기 양은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기록했다. 이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도 역대 최고치로 예년보다 최고 4.7℃나 높았다. 수온이 오르면 바다에서 구름으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는 것이다. 다만 기상청에서는 이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은 바 없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기후/환경

+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태풍 '페이파' 日 향해 북상...강릉에 '가뭄에 단비' 될까?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생성된 열대저압부가 곧 제15호 태풍으로 발달해 북동진한다는 이동경로가 발표되면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을

강릉 저수율 14% 붕괴...제한급수인데 수돗물 사용량이 그대로?

강릉 시민들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3.9%까지 내려갔다. 소방차와 물탱크 차량까지 동원해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고 있지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