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당 100㎜ 퍼붓는데...시간당 50㎜ 배수시설 괜찮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2 10:10:57
  • -
  • +
  • 인쇄
침수피해 지역 대부분 시간당 50㎜ 배수시설
"빈발하는 국지성 호우에 대비한 설비 갖춰야"
▲폭우에 물바다로 변한 충남 서산(사진=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시간당 50~100㎜에 이르는 '극한호우'가 매년 반복되는 것에 대비해 도시의 하수관로를 비롯한 빗물처리시설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6~17일 사이 누적 강우량 519.3㎜에 달했던 충남 서산은 배수(빗물)펌프장이 시간당 50㎜로 설계돼 있어, 이번처럼 시간당 114.9㎜로 쏟아진 빗물이 미처 관로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오히려 역류했다. 그 결과 서산시는 물바다가 되면서 도로와 집들이 모두 물에 잠겼다. 공공시설 292곳과 사유시설 417곳 등이 호우 피해를 입었고, 농경지 3421헥타르(ha)도 침수됐다. 이웃 지역인 충남 당진과 예산 지역의 빗물펌프장도 시간당 50㎜까지 견디도록 설계돼 있는데 이번에 시간당 110㎜ 이상의 비가 퍼부으면서 피해가 컸다.

광주의 비 피해도 심각했다. 지난 19일 광주 북구에서는 400㎜에 가까운 폭우가 하루에 모두 쏟아졌다. 이 때문에 도로 80여곳과 30채의 건물이 물에 잠겼다. 광주 빗물펌프장은 시간당 54㎜의 비가 내리는 것까지만 견디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에 이번처럼 단시간에 많은 비가 퍼부을 때는 속수무책이다. 당시 광주 북구의 강수량은 시간당 76.2㎜에 달했다. 나주의 빗물펌프장도 비슷한 용량으로 설계돼 있는데 이번에 시간당 92㎜가 쏟아져 물바다가 됐다.

국지성 호우에 따른 피해가 발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7월 장마기간에 경기 파주에 내린 강수량은 900.9㎜에 달했고, 철원은 803㎜, 서울은 627.8㎜였다. 특히 파주는 지난해 7월 17~18일 시간당 101㎜의 폭우가 쏟아졌다. 이 때문에 파주뿐 아니라 고양 등 이 일대가 모두 물바다가 됐다. 2023년에도 경북 북부 지역에 하루에 120~480㎜의 폭우가 내려 침수와 산사태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고, 지난 2022년에는 서울 강남역과 서초역이 폭우에 잠겨 충격을 주기도 했다.

지금까지 간간히 발생했던 '국지성 호우'는 이제 기후변화의 여파로 더 빈번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통상 우리나라는 6월말과 7월초에 걸쳐 북쪽의 찬공기와 남쪽의 더운공기가 만나면서 정체전선이 형성되는데 이를 장마전선이라고 부른다. 이 정체전선이 걸쳐져 있는 지역에 장맛비가 내렸다. 

그런데 이 장마 패턴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기후변화로 대기 에너지가 더 커지고, 두 기압이 맞서는 힘이 더 강해지면서 정체전선의 폭이 좁게 압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 좁은 비구름띠는 수증기가 응축돼 있다보니, 이 띠가 걸쳐져 있는 지역은 단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국지성 호우'가 발생한다. 

앞으로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는 빈도는 더 잦아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고했다. 이 때문에 현재 배수시설 용량으로는 '국지성 호우'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인덕대 정창삼 수공학 교수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과거의 강우 패턴을 기반으로 설계된 설비여서 지금의 강수량에서 버티지 못하는 것"이라며 "문제는 이같은 국지적 호우 패턴이 일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나 우수관을 설계할 때 해당 지역에 폭우가 내리는 빈도를 기준으로 삼는데 우리나라 빗물펌프장도 대부분 10~20년에 한번 내리는 폭우를 기준으로 시간당 50㎜로 설계돼 있다. 그런데 한반도의 강우 패턴은 100년이나 200년, 심지어 500년에 한번꼴로 내리는 폭우가 이곳저곳에서 수시로 내리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당 100㎜ 이상도 견딜 수 있는 배수설비로 하루빨리 확장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최근 새로 설치되는 배수펌프장은 50년 빈도를 기준으로 설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도 시간당 100㎜ 이상 호우를 감당할 수 있는 '대도심 빗물터널'을 건설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빗물설비 확장과 동시에 호우 대응체계도 좀더 철저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정창삼 교수는 "새로운 기후 패턴에 맞춘 구조적 대책을 설계하면서도 동시에 호우경보를 알리고,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피령을 내리는 등 비구조적 체계도 철저히 구축해야 한다"며 "위험을 빨리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여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김성환 환경장관 "도전적·합리적 탄소감축 목표 수립하겠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김성환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2035 국

'극한호우'에 농경지 2.9만㏊ 침수되고 가축 175만마리 폐사

서산과 광주, 산청 등을 물바다로 만들었던 이번 집중호우로 경작지 2만9448헥타르(㏊)가 물에 잠겼다. 이는 축구장 4만1000여개에 달하는 면적이다.농림

유해기체 제거하는 '촉매' 개발...대기오염 저감기술 새 장

미세한 백금 원자를 이차원 신소재에 고르게 퍼뜨려 일산화탄소 등 유해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백금 촉매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