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40℃ 폭염, 서부 알래스카급 냉기…'이상기후'에 갇힌 美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8 10:35:46
  • -
  • +
  • 인쇄
▲폭염이 덮친 미국 뉴욕시 (사진=연합뉴스)


미국 전역이 극단적인 이상기후에 휩싸였다. 동부와 중서부는 6월에 이어 또다시 열돔에 갇혀 체감온도가 40℃를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서부 샌프란시스코는 60년만에 가장 추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은 27일(현지시간) "광범위한 열돔 현상이 다시 형성돼 전국적으로 고온다습한 공기에 갇혀있다"며, 현재 약 1억2300만명이 폭염경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북동부 지역은 체감온도 41℃, 남부는 46℃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열돔의 영향으로 뉴욕과 보스턴 등 북동부 도시는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연일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뉴욕시는 체감온도가 최대 40.5℃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보됐다. 긴급경보 시스템은 "건강에 위험하다"며 냉방시설이 없는 주민, 만성질환자, 야외 근무자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6월에도 뉴욕은 38.9℃까지 오르며 역대 6월 최고기온을 경신한 바 있다.

필라델피아 인근 뉴저지 남부지역은 체감온도가 41℃를 넘길 것으로 보이며, 코네티컷·로드아일랜드·매사추세츠 등도 전역 폭염주의보에 포함됐다. 보스턴도 35~37℃ 수준의 더위가 예보됐다.

특히 이번 열돔은 야간에도 식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 도시는 자정 무렵에도 섭씨 27℃ 안팎의 열대야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해양대기청은 "냉방장치 없이 실내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후연구단체 기후센트럴은 "이런 규모의 열돔은 과거보다 훨씬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번 폭염 역시 지구온난화가 없었다면 발생 확률이 최소 3분의 1 이하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6월말에도 미국 동부와 유럽·아시아가 동시에 열돔에 갇히는 등 북반구 전역에서 유사한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기상청은 "열돔 현상은 수요일 밤부터 찬 대기 전선의 진입으로 점차 해소될 가능성이 있으나, 8월에도 평년 이상 더위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폭염은 고립된 사건이 아니라, 6월 중순부터 세 차례에 걸쳐 반복된 열돔 흐름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위험성을 보여준다.

동부는 유례없는 폭염에 신음하고 있지만 서부 샌프란시스코는 유례없는 한여름 냉기를 겪고 있다. 이 지역은 6월 평균기온이 평년 대비 5℃ 낮고, 7월에도 4℃ 낮은 수준이다. 현지 기상당국은 1965년 이후 가장 추운 여름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해안가의 차가운 바닷물과 결합된 해양층 영향으로, 샌프란시스코는 현재 알래스카 수준의 기후를 보이고 있다.

한 나라 안에서 40℃ 폭염과 냉기 흐름이 동시에 발생하는 극단적인 기후 양상은, 이상기후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번 여름 미국 전역에서 반복되는 기상이변은 기온 자체보다도 '기후의 예측 불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경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