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가 22시간만인 지난 27일 오후 완전 진화됐지만 이곳과 연계된 정부 시스템 상당수는 서비스 정상화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특히 추석연휴를 앞두고 물동량이 늘어나는 우체국 택배는 배송에 큰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우정사업본부는 28일 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됐던 서버 시스템을 다시 가동해 우편·금융·보험 등 모든 채널에서 서비스가 정상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시작했다.
택배 물량이 몰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우체국 서비스가 마비 상태에 빠지며 우편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됐다. 이에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서비스 완전 복구 시점은 현재로선 예상하기 어렵지만 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화재 현장을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도 "우체국 금융과 같이 국민 경제활동에 직결되거나 우체국 택배처럼 추석 명절 국민들께 곧바로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서비스, 정부24 등 많은 국민들이 접근하는 시스템부터 최대한 빨리 복구해달라"고 주문했다.
전국 50여곳 핵심물류단지를 중점관리하는 '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과 화물운송사업자의 운송정보 등을 확인하는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도 이번 화재로 홈페이지 접속이 안되고 있어, 물류대란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는 최신 물류동향과 물류통계정보 등 물류에 관련된 주요 통계 및 현황을 주기적으로 제공·갱신하는 시스템"이라며 "민간 물류사의 택배 처리 업무에 끼치는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경 대전에 있는 국정자원의 UPS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가 멈췄고, 이 가운데 436개는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여서 피해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국민들은 큰 불편을 겪게 됐다.
당장 월요일인 29일부터 우체국 택배뿐 아니라 우체국 금융, 우체국 연계서비스, 금융서비스에서 필요한 신분확인 서비스, 모바일신분증 확인서비스, 인터넷지로 공과금 납부 등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조달청 나라장터·종합쇼핑몰 등도 이용할 수 없다.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에 있던 96개 시스템의 경우 정상화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정부는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어떤 시스템이 이에 해당되는지 파악해서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화재가 사용연한을 1년 넘긴 노후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유지보수비를 깎는 등 관리부실이 원인이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