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네이버 인물정보로 가장 많이 신규등록·업데이트된 직업은 '기업인'으로 나타났다.
28일 네이버가 공개한 '인물정보 2025 트렌드'에 따르면, 올해 인물정보 신규등록과 업데이트 참여가 가장 많았던 직업은 기업인, 작가, 가수, 컨설턴트, 배우, 온라인콘텐츠창작자(크리에이터), 변호사 순이었다. 전체 누적으로 보면 가수, 기업인, 대학교수, 의사, 배우, 작가, 변호사 순이다.
MBTI 유형은 ENFJ, ENFP, ENTJ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 유형은 주로 가수·기업인·온라인콘텐츠창작자 직업군에 특히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물정보에 출생연도를 입력한 등재자 중 1980~1990년대생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올해는 1990년대생과 2000년대생의 참여가 크게 늘었다. 젊은세대일수록 자신의 경력과 활동을 적극 알리고 대중과 소통하려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 네이버 인물정보는 인물의 근황과 최신 콘텐츠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여러 SNS 채널과 연동된 '최근소식·최근활동' 영역도 제공하고 있다. 올해 인물정보에 가장 많이 등록된 사이트는 '인스타그램'이었으며, 지난해 대비 '블로그'와 '틱톡'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이는 2030세대 중심으로 강화되는 블로그 트렌드와 1020세대 중심의 숏폼 선호도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네이버 인물정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인물의 직업·경력·학력 등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약 700여개의 직업 정보를 지원하고 있다.
네이버는 본인 또는 대리인이 직접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는 '본인참여' 서비스를 운영하는 동시에, 보다 정확하고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현재 상급종합병원, 대한법무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국립현대미술관, 한국공인노무사회 등과 제휴하고 있으며, 제휴기관의 공식 인증 마크는 인물정보 화면 우측 상단에 표시된다.
네이버는 사회 변화와 법·제도 개편, 직업 구조 변화에 맞춰 직업 목록과 등재 기준도 지속 보완하고 있다. 올해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의 자문을 거쳐 '언어재활사', '직업상담사', '기술거래사' 등 3개 직업군을 신설했다. 지난해에는 '공학기술자', '관광통역안내사', '대한민국명장', '아트디렉터', '평생교육사', '동물원사육사' 등을 추가했다. 한국수화언어가 국어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는 법적 개념을 반영해 '수화통역사'를 '수어통역사'로 직업명을 변경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학력, 경력, 자격증, 전문분야, 대표수상 등의 항목에 이어 직업 연차, 활동지역, 구사 외국어 등 전문성을 보여주는 세부 정보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