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같은 복장 다른 처우...서울 환경미화원 58% '위탁 근로자'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8:47:15
  • -
  • +
  • 인쇄
서울시 25개 자치구 6178명 환경미화원 중 공무원은 2572명
환경공무원 정년 보장되지만 위탁근로자는 '고용불안' 시달려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일을 하지만 처우는 다르다. '환경미화원' 이야기다. 흔히 환경미화원은 공무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서울시 각 기초자치단체(자치구)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58.4%는 공무원이 아니라 청소용역업체 직원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뉴스;트리가 서울시의 25개 자치구에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파악한 결과, 서울시의 환경미화 업무 종사자는 총 6178명으로 조사됐다. 그 중 환경공무직이 2572명이고, 용역업체(115개)의 위탁근로자가 3606명으로 나타났다. 환경미화원의 절반이 넘는 58.4%가 용역업체에서 고용된 직원이라는 의미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는 청소 관련업무 관리자 20명을 제외한 모든 미화 업무를 용역업체 직원들이 맡고 있다. 강남구에 소속된 환경미화원은 단 1명도 없다는 얘기다.

자치구 환경공무직 위탁근로자(업체수) 자치구 환경공무직 위탁근로자(업체수)
강남구 20명 683명 (9개) 강동구 103명 133명 (4개)
강북구 96명 107명 (2개) 강서구 118명 123명 (5개)
관악구 171명 105명 (7개) 광진구 96명 97명 (4개)
구로구 119명 129명 (4개) 금천구 105명 84명 (4개)
노원구 173명 100명 (4개) 도봉구 80명 91명 (3개)
동대문구 119명 118명 (3개) 동작구 87명 170명 (5개)
마포구 103명 154명 (4개) 서대문구 83명 121명 (3개)
서초구 69명 200명 (5개) 성동구 110명 87명 (4개)
성북구 123명 108명 (3개) 송파구 119명 118명 (9개)
양천구 75명 117명 (6개) 영등포구 127명 144명 (6개)
용산구 59명 181명 (5개) 은평구 111명 141명 (4개)
종로구 134명 126명 (3개) 중구 107명 132명 (6개)
중랑구 65명 82명 (3개)
▲ 서울시 각 자치구의 환경미화 종사자 수

동일한 복장으로 동일한 일을 하지만 공무직 신분의 환경미화원과 용역업체 직원으로 있는 환경미화원의 처우는 크게 달랐다. 환경 공무직의 초봉은 대략 연간 4500만원 선이다. 여기에 야근·휴일 근무수당, 명절 휴가비 등을 합치면 금액은 더 올라간다. 승진은 없지만 매년 1호봉씩 자동승급된다. 32년 장기근속하면 최고 호봉인 32호봉까지 올라간다. 정년도 만 60세로 공무원과 같다.

반면 청소용역업체에 소속된 환경미화원은 이보다 500~1000만원가량 연봉이 작다. 공무원들만 누릴 수 있는 수당과 복지혜택까지 감안하면 이 금액은 더 차이가 난다. 

용역업체 임금도 각 자치구별로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 자치구는 예산에 맞춰 청소업체 노임단가를 책정한다. 예산은 노임단가의 100%로 책정돼 있다. 그러나 최저입찰제 방식으로 용역업체를 선정하다보니 용역업체 직원들이 받는 실제 임금은 노임단가보다 낮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게다가 환경공무원들처럼 호봉 상승에 따른 임금인상도 없다. 청소업체 경력이 쌓일수록 환경공무직과 임금격차는 심해진다.

이뿐 아니다. 같은 자치구의 업무를 맡았더라도 청소업체별로 임금 차이가 났다. 이는 간접노무비 지급수준이 다르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간접노무비를 받느냐 못받느냐에 따라 연간 100~200만원 정도 임금차이가 발생했다.

강남구 청소용역업체 소속 근로자 A씨는 "자치구들은 청소용역업체에게 용역임금 이외에 10% 정도의 이익률을 보장해주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 돈은 용역업체에 소속된 환경미화원에게 쓰여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털어놨다.

더 큰 문제는 '고용불안'이다. 환경공무원들은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돼 있지만 용역업체 직원들은 늘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자치구의 청소용역을 받지 못한 업체들은 환경미화원들을 내보내고, 환경미화원들은 용역을 따낸 업체들을 찾아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서울지역시설환경관리지부는 "임금 격차보다 더 큰 문제가 고용불안"이라며 "각 자치구들은 보통 2~3년 주기로 청소용역업체를 바꾼다"면서 "입찰에서 탈락한 업체들은 환경미화원들을 내보내고, 이 환경미화원들은 새로운 용역업체에 다시 취업하다보니 한곳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재취업을 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자치구들은 용역업체를 변경할 때마다 이전 용역업체 직원들의 고용승계를 권고하지만 이를 제대로 지키는 곳은 거의 없다. 실제로 지난해 화성시 폐기물 시설관리센터를 위탁운영하게 된 회사는 용역계약이 변경됐다는 이유로 고용승계를 거부했다. 이 때문에 16명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연합노동조합 관계자는 "청소구역 조정과 수탁업체 변경으로 인한 고용승계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을 준수하도록 확약서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수탁업체 정원관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기후/환경

+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COP30] 산림지키는 기후총회에...농업 로비스트 300명 활동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300명이 넘는 농업 로비스트가 몰리자, 원주민과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COP30] AI는 기후위기 해결사? 새로운 위협?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대응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막대한 전기수요를 발생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18일(현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