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햄버거·콜라, 안 오르는게 없네"…식품업계 '도미노 가격 인상'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51:17
  • -
  • +
  • 인쇄
코로나19 장기화로 원자재 수급·가격 불안정이 지속이 원인

연초부터 음료, 빵, 햄버거 등 먹거리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더 팍팍해지고 있다. 특히 해당 업종의 대표 업체들이 가격을 올리면서 다른 업체들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 맥도날드 전체 품목의 평균 가격 인상률은 2.8%다.

맥도날드는 오는 25일부터 버거류 11종 등 총 30개 품목의 가격을 100~300원 인상한다고 19일 밝혔다. 전체 품목의 평균 가격 인상률은 2.8%다. 불고기버거 뿐만이 아니라 빅맥,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등은 4500원에서 4600원으로 100원 인상된다. 탄산음료는 100원, 커피는 크기와 종류에 따라 100~300원 인상된다. 회사측은 "닭고기, 돼지고기, 달걀, 토마토, 양파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20~30% 오르고 지난 5년간 인건비 부담이 커졌다"고 인상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앞서 롯데리아는 이달 초부터 버거·디저트 등 제품 25종의 가격을 100∼200원 올렸다. 버거류 13종, 디저트류 7종, 드링크류 2종, 치킨류 3종이 대상으로 평균 인상률은 맥도날드보다 1.3%p 낮은 약 1.5%다.

국내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도 일제히 빵값을 올렸다. 1위 브랜드 파리바게뜨는 19일부터 660개 제품 중 14.4%에 해당하는 95개 품목의 권장 소비자가격을 평균 5.6% 인상했다. 땅콩크림빵은 1200원에서 1300원으로, 소보루빵은 1100원에서 1200원으로 올렸다.

베이커리 2위 브랜드 뚜레쥬르는 지난달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90여 종의 제품 가격을 평균 약 9% 인상했다.
▲코로나 19 사태와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유가와 식량가격이 상승했다. 

가격 상승의 원인은 코로나 19 사태와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유가와 식량가격이 상승했기 때문.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1년 전보다는 16.2% 올랐고 코로나19 충격으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까지 급락했던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6배 급등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매월 산출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달 113.3을 기록하며 2014년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곡물만 집계하는 곡물가격지수도 124.2를 기록하며 연평균 기준 2013년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 유가·식량 가격이 높아지면서 시차를 두고 연초부터 국내 가공식품 가격도 함께 오르는 추세다.  

CJ제일제당은 이달 말 '햇반' 가격을 6~7% 정도 올릴 계획이다. 오뚜기도 '오뚜기밥' 가격을 7~9% 정도 인상할 예정이다. 풀무원은 이미 두부, 콩나물 가격을 10%가량 인상했고 샘표식품은 꽁치, 고등어 통조림 가격을 40%가량 올렸다.

이달부터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등 14개 음료제품 가격을 평균 7% 올랐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15년 1월 이후 6년 만이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원자재 수급·가격 불안정이 지속되면서 다른 식품·외식업체들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탄소중립 핵심목표 미루더니...英 HSBC도 '넷제로연합' 탈퇴

영국계 글로벌 금융사 HSBC가 은행권의 기후목표 연합체인 '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한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국 대형은행들의 잇

[친환경 기업] 샴푸바의 시작 '러쉬'..."환경파괴해 수확한 원료 안쓰죠"

"러쉬의 모든 활동은 브랜드가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이다."러쉬코리아의 박원정 윤리이사(에틱스 디렉터)의 말이다. 에틱스 디렉터는 세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기후/환경

+

감사원 "온실가스 감축 안하면 2080년 폭염사망 30배...정부, 대응해야"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기후보건 영향평가'가 미래 예측 위주로 바뀌어야 한다는 감사원의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청이 예산 부족 등을

"2035 NDC, 청년·여성 등 기후위기 당사자 목소리 반영해야"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청년·여성 등 기후위기 당사자의 참여와 권한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전문가 중

올 상반기 배출가스 차량 8만대 환경부 '리콜' 대상

환경부가 2025년 상반기 결함시정(리콜) 승인 현황을 집계한 결과,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에서 51차종 8만 2537대의 차량에 대해 의무적 결함시정을

李대통령 이어 환경장관 후보자도..."연내 탈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이재명 대통령에 이어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도 연내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다.김성환 장관 후보자는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

석탄재 투기로 식수·바다 몽땅 오염...한전 석탄발전소에 필리핀 지역민 '분통'

한국전력공사가 필리핀에서 운영하는 석탄화력발전소로 인해 지역주민들이 호흡기 질환과 어획량 감소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기후

기후변화로 커지는 작물...당 함량 높지만 영양소는 부족해져

기후변화로 이산화탄소가 높으면 작물이 크게 자라면서 당함량은 높아지지만 영양성분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인한 탄소농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