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가는 치매 노인...여성 치매 진행 더 빠르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3-02 11:40:31
  • -
  • +
  • 인쇄
여성이 전반적인 인지능력, 집행기능, 기억력 좋아
단, 인지능력과 집행기능 저하속도는 남성보다 빨라

알츠하이머 치매는 진단되는 시점과 진행 속도가 남녀 간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데버러 레빈 박사 연구팀은 치매 진단은 여성이 남성보다 늦지만 일단 발생하면 진행 속도는 남성보다 빠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971년부터 2017년까지 남녀 2만6088명(남성 1만1775명, 여성 1만4313명)을 대상으로 평균 7.9년에 걸쳐 진행된 5건의 연구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전반적인 인지능력(global cognition)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기억력 테스트를 시행했다. 첫 테스트 때 이들 남녀의 평균 연령은 58세였다.

테스트를 분석한 결과 여성은 기본적으로 전반적인 인지능력, 집행기능, 기억력이 남성보다 좋았다. 그러나 전반적인 인지능력과 집행기능이 저하되는 속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빨랐다. 다만 기억력의 저하 속도는 남성과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에 "인지 예비능(cognitive reserve)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지만 일단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 속도가 남성보다 빠르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여성은 인지기능 저하 진단 시기가 늦거나 지연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인지 예비능이란 뇌의 노화를 대비해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는 뇌의 대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뇌의 비상 에너지인 것이다.

여성은 뇌의 비상 에너지가 남성보다 많기 때문에 치매 초기의 인지기능 테스트에서는 남성보다 성적이 괜찮게 나올 수 있음을 이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남녀 간 이러한 차이는 성호르몬, 뇌의 구조적 발달, 유전자, 사회심리적 요인(psychosocial factor), 생활 습관, 뇌의 기능적 연결성(functional connectivity), 뇌 병리학(brain pathology)에서 오는 차이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마운트 시나이 알츠하이머병 연구센터의 샘 갠디 박사는 "이유는 어찌 됐든 인지 예비능에는 '절벽'(cognitive reserve cliff)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어 "이는 '생리학적 고정점'(physiological set point) 이론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신체 기관은 나름대로 그 기능의 고정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각 신체 기관의 기능은 서서히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상 메커니즘(compensatory mechanism)에 의해 최적의(optimal) 고정점을 유지하다가 보상 메커니즘이 소진되면 급속하게 곤두박질하게 된다는 것이다.

고정점이란 이를테면 우리 몸이 일정한 체중, 체온, 전해질 농도 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말한다.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하기도 한다.

미국 알츠하이머병협회(Alzheimer's Association)의 레베카 에델마이어 연구실장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3분의 2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지난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따라서 인지기능 테스트는 손상된 기능과 손상되지 않은 기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민감성을 높이고 남녀 간 테스트 평가의 경계선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실렸다.

한편, 2018년 77만여명이던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2020년 86만여명으로, 2년 새 10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HLB, HLB사이언스 흡수합병..."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

글로벌 항암제 개발기업 'HLB'와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기업인 'HLB사이언스'가 합병한다.HLB와 HLB사이언스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르포] 플라스틱을 바이오가스로?...'2025 그린에너텍' 가보니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한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의 주요 테마는 '바이오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었다.올해 4회를 맞이하는 그린에너텍

기후/환경

+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美 트럼프 법무부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한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법무부가 석유화학 대기업에 기후피해를 배상하게 하는 '기후 슈퍼펀드법'까지 폐지하려는 것으로 드러났다.17일(현지시

강릉 가뭄 '한숨 돌렸다'...'단비' 덕분에 저수율 23.4%까지 회복

한때 11%까지 내려갔던 강릉의 저수율이 지난 수요일 내린 폭우 덕분에 18일 오전 6시 기준 23.4%까지 회복됐다. 아직도 평년 저수율 71.8%에 크게 못미치는

폭염 '조용한 살인자'...유럽과 호주, 온열질환 사망자 급증

북반구와 남반구 할 것 없이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폭염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다. 올여름 유럽에서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3분의 2는 지구온난

[알림]'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어워즈' 6개사 선정...19일 시상식

기후변화에 맞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기후테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