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기행] 제주 허름한 밥집에서 느끼는 엄마 손맛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4-30 18:42:17
  • -
  • +
  • 인쇄
제주도에 나름 전국구 맛 집이 있다. 서귀포에 자리 잡고 있다. 서귀포항 부근이다. 엄밀히 말하면 서귀포항과 조금은 거리가 있다. 서귀포항에서 호텔촌으로 조금만 오르면 된다.

허름한 밥집이다. 술은 안 판다. 주인의 철학이 뚜렷하다. 술을 마시려면 사갖고 가야한다. 2002년에 김영자(77) 할머니 부부가 문을 열었다. 20년 동안 한자리에서 손님을 맞이하고 있다. 지금도 김영자 할머니가 주방을 굳게 지키고 있다. 동업자는 바뀌었다. 남편 대신 아들 강정열(53) 씨가 어머니를 돕고 있다.

강정열 씨는 몸이 안 좋아 퇴직을 했다. 소일 삼아 어머니 일을 거들고 있다. 모자지간에 사이가 좋다. 엄마는 주방. 아들은 홀을 담당한다. 투박한 제주 사투리로 대화한다. 타지 사람은 이해가 안 되는 말도 있다. 그런 모습이 보기 좋다. 아들은 손님에게 자랑한다. "우리 식당이 나름 전국구 맛 집이라고." 남들이 믿든 말든 상관이 없단다.

정말로 그럴까. 질문을 던졌다. 아들이 씩 웃는다. 그냥 드셔보란다. 제일 자신있는 음식이 뭐냐고 물었다. 1초의 쉼표도 없이 김치찌개란다. 순두부찌개도 별미라고 한다. 값도 싸다. 모든 찌개가 7000원이다. 두 음식을 모두 시켰다. 음식이 나오기 전에 밑반찬이 놓인다. 10가지 반찬이 한상에 쫙 깔린다.

▲7000원 찌개를 시켰더니 10여 반찬이 한상에 쫙 깔린다.


입이 딱 벌어진다. 채소와 해초로 꾸며진 건강식이다. 본음식이 나오기 전에 젓가락이 자동으로 움직인다. 반찬이 담백하다. 조미료를 거의 안 쓴다. 재료 고유의 맛을 내기 위해서다. 김영자 씨는 매일 아침 7시에 시장을 봐온다. 신선한 재료를 구하기 위해 부지런을 떤다.

김치찌개와 순두부가 나왔다. 김치찌개를 한 숟갈 먹어봤다. 먹는 순간 혀가 놀랐다. 이럴 수가. 김치찌개가 이런 맛이라니. 칼칼하면서 시원함이 느껴졌다. 해장에도 최고였다. 아들의 자랑이 입으로 느껴졌다. 묵은 김치와 제주 돼지고기가 환상의 조화를 이뤘다. 푸짐한 돼지고기가 포만감을 선사했다. 필자만 그리 느낀 게 아니다. 일행 모두가 엄지손가락을 치세웠다. 김치찌개의 진수를 맛보았다.

순두부찌개는 어떤 맛일까. 우선 모양부터 다르다. 우리가 평소 먹는 순두부가 아니다. 두부가 거칠다. 콩을 갈아 만들었다. 일반 식당에서는 보기 힘든 순두부다. 순두부의 양이 엄청나다. 밥을 안 먹어도 될 양이다. 순두부만 먹어도 배가 부를 지경이다. 맛 또한 별미다. 매콤함이 오감을 자극한다. 엄마의 손맛 식당이 대표쌍두마차로 내세울 만하다.

▲콩을 직접 갈아서 만든 '순두부찌개'


다른 음식도 많다. 갈치 고등어 등 생선구이가 손님의 입맛을 돋궈준다. 철따라 한치물회 자리물회도 제공된다. 오겹살구이도 고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제주의 특산물을 제대로 맛보게 한다.

엄마의 손맛은 관광객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현지인들의 숨은 맛 집이다. 그나마 전국의 축구관계자에게는 일부 알려져 있다. 제주에 훈련 온 축구관계자들이 자주 찾는다. 제주 축구인의 소개로 별미를 맛보고 간다. 한 번 먹고 나면 계속 먹으러 간다. 왜 그럴까. 맛만 좋아서가 아니다. 주인의 고객 사랑이 대단하다. 손님을 가족처럼 맞이한다. 아침에는 달걀프라이를 제공한다.

▲아침손님에게만 제공하는 달걀프라이

점심에는 바빠서 내놓지 못한다. 제 시간에 밥을 먹으려면 예약이 필수다. 식탁이 4개 밖에 안된다. 바쁠 때는 30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 그래도 별미를 맛보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린다. 주인할머니는 잔정이 많다. 객지에서 온 손님에게 정성을 더 쏟는다. 상황에 따라 고등어구이도 무료로 내어준다. 7000원짜리 찌개를 먹는데 1만원짜리 고등어구이를 공짜로 주다니. 말이 안 되는 식당이다.

주인할머니의 푸근한 인심에 유명인도 발길이 잦다. 톱스타 송강호 이병헌도 엄마의 맛 집 음식에 감탄사를 내뱉었다. 유명인이 찾았다 해서 맛 집은 아니다. 평범한 손님이 인정해 줘야 맛 집이다. 엄마의 손맛은 보통사람들이 자주 찾는 식당이다. 맛이 좋아 발길이 끌리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유명인도 찾게 되는 것이다.

엄마의 손맛 식당은 특징이 있다. 카드가 안된다. 세금을 안 내기 위함이 아니다. 주인이 카드결제를 할 줄 몰라서 설치를 안했다. 주인이 휴대폰도 안쓴다. 예약은 유선전화로 해야만 한다. 그냥 옛 생활이 편하다는 주인의 고집이다. 약간의 불편함이 오히려 편할 때가 있다.

엄마의 손맛은 그런 불편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여행의 고단함을 풀고 싶은가. 집밥이 그리워지는가. 물어물어 찾아가라. 엄마의 손맛으로.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늬들이 군산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기후/환경

+

20억명이 화석연료 매연에 노출..."석탄·석유 시설 5km 이내 거주"

전세계 인구의 25%가 화석연료 시설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전세계 인구의 25%에 달하는 20억명이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생산시설로부터

[COP30] 기후관련 가짜뉴스 근절한다...'정보 무결성 선언' 첫 채택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정보 조작과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정보 무결성 선언'이 처음으로 채택됐다.12일(현지시간)

[COP30] 인도, EU 탄소국경세에 맹폭…"기후정책 가장한 보호무역"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인도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CBAM)를 공개비판하면서 이 문제가

"韓, COP30에서 화석연료 금융 중단하는 CETP 가입해야"

전세계 79개 시민사회단체가 한국 정부를 향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청정에너지전환파트너십(CETP)에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