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기행] 제주 허름한 밥집에서 느끼는 엄마 손맛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1-04-30 18:42:17
  • -
  • +
  • 인쇄
제주도에 나름 전국구 맛 집이 있다. 서귀포에 자리 잡고 있다. 서귀포항 부근이다. 엄밀히 말하면 서귀포항과 조금은 거리가 있다. 서귀포항에서 호텔촌으로 조금만 오르면 된다.

허름한 밥집이다. 술은 안 판다. 주인의 철학이 뚜렷하다. 술을 마시려면 사갖고 가야한다. 2002년에 김영자(77) 할머니 부부가 문을 열었다. 20년 동안 한자리에서 손님을 맞이하고 있다. 지금도 김영자 할머니가 주방을 굳게 지키고 있다. 동업자는 바뀌었다. 남편 대신 아들 강정열(53) 씨가 어머니를 돕고 있다.

강정열 씨는 몸이 안 좋아 퇴직을 했다. 소일 삼아 어머니 일을 거들고 있다. 모자지간에 사이가 좋다. 엄마는 주방. 아들은 홀을 담당한다. 투박한 제주 사투리로 대화한다. 타지 사람은 이해가 안 되는 말도 있다. 그런 모습이 보기 좋다. 아들은 손님에게 자랑한다. "우리 식당이 나름 전국구 맛 집이라고." 남들이 믿든 말든 상관이 없단다.

정말로 그럴까. 질문을 던졌다. 아들이 씩 웃는다. 그냥 드셔보란다. 제일 자신있는 음식이 뭐냐고 물었다. 1초의 쉼표도 없이 김치찌개란다. 순두부찌개도 별미라고 한다. 값도 싸다. 모든 찌개가 7000원이다. 두 음식을 모두 시켰다. 음식이 나오기 전에 밑반찬이 놓인다. 10가지 반찬이 한상에 쫙 깔린다.

▲7000원 찌개를 시켰더니 10여 반찬이 한상에 쫙 깔린다.


입이 딱 벌어진다. 채소와 해초로 꾸며진 건강식이다. 본음식이 나오기 전에 젓가락이 자동으로 움직인다. 반찬이 담백하다. 조미료를 거의 안 쓴다. 재료 고유의 맛을 내기 위해서다. 김영자 씨는 매일 아침 7시에 시장을 봐온다. 신선한 재료를 구하기 위해 부지런을 떤다.

김치찌개와 순두부가 나왔다. 김치찌개를 한 숟갈 먹어봤다. 먹는 순간 혀가 놀랐다. 이럴 수가. 김치찌개가 이런 맛이라니. 칼칼하면서 시원함이 느껴졌다. 해장에도 최고였다. 아들의 자랑이 입으로 느껴졌다. 묵은 김치와 제주 돼지고기가 환상의 조화를 이뤘다. 푸짐한 돼지고기가 포만감을 선사했다. 필자만 그리 느낀 게 아니다. 일행 모두가 엄지손가락을 치세웠다. 김치찌개의 진수를 맛보았다.

순두부찌개는 어떤 맛일까. 우선 모양부터 다르다. 우리가 평소 먹는 순두부가 아니다. 두부가 거칠다. 콩을 갈아 만들었다. 일반 식당에서는 보기 힘든 순두부다. 순두부의 양이 엄청나다. 밥을 안 먹어도 될 양이다. 순두부만 먹어도 배가 부를 지경이다. 맛 또한 별미다. 매콤함이 오감을 자극한다. 엄마의 손맛 식당이 대표쌍두마차로 내세울 만하다.

▲콩을 직접 갈아서 만든 '순두부찌개'


다른 음식도 많다. 갈치 고등어 등 생선구이가 손님의 입맛을 돋궈준다. 철따라 한치물회 자리물회도 제공된다. 오겹살구이도 고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제주의 특산물을 제대로 맛보게 한다.

엄마의 손맛은 관광객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현지인들의 숨은 맛 집이다. 그나마 전국의 축구관계자에게는 일부 알려져 있다. 제주에 훈련 온 축구관계자들이 자주 찾는다. 제주 축구인의 소개로 별미를 맛보고 간다. 한 번 먹고 나면 계속 먹으러 간다. 왜 그럴까. 맛만 좋아서가 아니다. 주인의 고객 사랑이 대단하다. 손님을 가족처럼 맞이한다. 아침에는 달걀프라이를 제공한다.

▲아침손님에게만 제공하는 달걀프라이

점심에는 바빠서 내놓지 못한다. 제 시간에 밥을 먹으려면 예약이 필수다. 식탁이 4개 밖에 안된다. 바쁠 때는 30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 그래도 별미를 맛보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린다. 주인할머니는 잔정이 많다. 객지에서 온 손님에게 정성을 더 쏟는다. 상황에 따라 고등어구이도 무료로 내어준다. 7000원짜리 찌개를 먹는데 1만원짜리 고등어구이를 공짜로 주다니. 말이 안 되는 식당이다.

주인할머니의 푸근한 인심에 유명인도 발길이 잦다. 톱스타 송강호 이병헌도 엄마의 맛 집 음식에 감탄사를 내뱉었다. 유명인이 찾았다 해서 맛 집은 아니다. 평범한 손님이 인정해 줘야 맛 집이다. 엄마의 손맛은 보통사람들이 자주 찾는 식당이다. 맛이 좋아 발길이 끌리는 곳이다. 그러다 보니 유명인도 찾게 되는 것이다.

엄마의 손맛 식당은 특징이 있다. 카드가 안된다. 세금을 안 내기 위함이 아니다. 주인이 카드결제를 할 줄 몰라서 설치를 안했다. 주인이 휴대폰도 안쓴다. 예약은 유선전화로 해야만 한다. 그냥 옛 생활이 편하다는 주인의 고집이다. 약간의 불편함이 오히려 편할 때가 있다.

엄마의 손맛은 그런 불편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여행의 고단함을 풀고 싶은가. 집밥이 그리워지는가. 물어물어 찾아가라. 엄마의 손맛으로.




 글/ 김병윤 작가
   춘천MBC 아나운서
   주간야구 기자
   내외경제(현 헤럴드경제) 기자
   SBS 스포츠국 기자
   저서 <늬들이 서울을 알아>
          <늬들이 군산을 알아>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기후/환경

+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거래시장 진입 채비… “재생에너지 52.9GW 확충”

인도네시아가 국가 탄소시장을 국제 기준에 맞춰 정비하며 글로벌 탄소시장에 본격 진입한다.19일(현지시간) 솔라쿼터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인도네

中, 재생에너지 확장에서 미국·EU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

중국이 재생에너지 확장 속도와 규모에서 미국과 유럽연합을 넘어 세계 1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

트럼프 기후정책 후퇴로 전세계 130만명 추가 사망 가능성

미국의 기후정책 후퇴가 전세계적으로 약 130만명의 추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19일(현지시간) 가디언과 프로퍼블리카의 공동 분석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