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이면 반인권은 괜찮다?..."ESG투자, 인권 고려해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8-09 15:47:51
  • -
  • +
  • 인쇄
FT, 현재 환경문제 치우쳐 있는 ESG 투자평가 비판
"채권시장 구조개혁하고, 합의된 평가방식 도입해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가치가 제고되면서 투자자들은 환경문제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ESG의 'S'(Social)에 해당하는 인권문제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투자자들이 유니레버, 스페인공항공사(AENA) 등 세계적인 기업들에 주주총회시 환경계획을 표결안건으로 채택하도록 하거나 기후변화 영향평가 공개를 의무화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반면 인권과 관련해서는 이중잣대를 들이대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ESG를 주도한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UBS는 벨라루스 국채의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 벨라루스는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집권하고 있다. 벨라루스의 민주주의 운동가 니콜라이 프라코프유는 블랙록에 "국채 매입으로 루카셴코의 정권 유지를 돕는 게 투자방침이냐"고 물었지만 블랙록은 답변을 거부했다. 

FT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권 문제가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 원인을 채권시장 구조에서 찾았다. 투자자들이 주주총회 등 경영진과 상대적으로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소통할 수 있는 주식시장과 달리,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발행하는 채권의 경우 국가나 공공기관의 대표들이 나오기 때문에 사뭇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면서 의견을 피력하기 힘든 구조라는 것이다.

게다가 '어떤 사회적 가치를 우선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저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모두에게 해당되는 전지구적인 환경 문제의 경우 이견이 적은 편이고, 탄소배출량 등 계측 가능한 평가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각기 다른 역사·문화적 배경을 갖춘 투자자들이 각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어떤 기준으로 평가할지 합의를 보기는 힘들다.

전문가들은 오랜기간 금융산업에 뿌리 박힌 '책임성 결여의 문제'를 정리하지 않고서는 사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투자시장에 속한 모두가 책임 소재의 모호함 뒤에 숨어 문제를 해결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다.

자산운용가들은 최종 투자자들의 요청사항을 이행하는 것이 본인들의 의무라면서 단지 이를 이행할 뿐이라고 발뺌한다. 투자상담가들은 투자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공할 뿐 고객이 신념을 바꾸도록 강요할 수 없다고 항변한다. 투자자들은 펀드매니저들이 투자하는 채권에 대해 일일이 관련 이슈를 알아보거나 검증할 시간이 없다고 한다.

FT는 이같은 시각이 ESG 요소들을 도의적인 차원에서 언젠가 해결해야할 문제가 아닌 단순히 이전에는 과소평가되던 위험을 찾아내고 그로 인한 금전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도구 정도로 인식하도록 한다고 지적했다. ESG 위험에만 치중한다면 회피만 할 뿐 ESG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반역 혐의로 수감된 우즈베키스탄 외교관 카디르 유스포프는 수감 생활 도중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했다. 그가 수감된 감방은 뱀과 전갈로 가득했고, 여러 가지 고문을 받았다. 이 사건이 우즈베키스탄 국채 가격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진정으로 ESG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면 명백한 인권침해 사례에 대해 자산운용사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윌리스타워스왓슨 지속가능한 투자담당 대표이사 아담 질레트는 "어렵다고 해서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투자자들에게 있어 인권문제가 기후위기만큼 중대한 도전과제임을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