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는 똥오줌 못가린다?...배설훈련 받은 송아지들 '놀라운 변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09-14 16:41:56
  • -
  • +
  • 인쇄
보상 및 가벼운 처벌 체계로 배변훈련 가능
배설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가능성

소도 개나 고양이처럼 배설훈련을 통해 정해진 장소에서만 변을 보도록 할 수 있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소는 변을 가리지 못해 아무곳에나 배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소도 훈련하면 한곳에서만 배설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확인된 것이다.

독일 축산생물학연구소(FBN)의 연구팀은 송아지를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한 결과 유아 수준 이상의 배설처리 능력을 갖게 됐다는 연구결과를 13일(현지시간) 학술지 현대생물학(Current Biology)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16마리의 송아지를 대상으로 몇 주에 걸쳐 약 15회의 훈련을 진행했다. 그 결과 11마리가 배설 훈련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나머지 5마리의 송아지는 확실하게 훈련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소의 배설훈련은 '무루(MooLoo) 접근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통해 이뤄졌다. 소들이 지정된 '무루' 영역에서 배설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역방향 연쇄짓기, 보상기반 훈련 절차를 이용해 소들이 헛간에서 정해진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가르쳤다. 송아지가 배정받은 자리에서 배설했을 때 보상으로 단 음료수나 으깬 보리를 주었고, 다른 곳에서 배설하면 위에서 물줄기를 짧게 쏘아 놀라게 했다.

이번 실험에서는 배뇨 훈련만 했지만, 연구진은 배변도 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의 린제이 매튜스 동물행동학자는 "소들은 2~4세 유아 수준 정도로 훈련 수행력이 뛰어났다"고 평가했다.

소의 배변훈련이 가능해지면 배설물을 즉시 모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소의 배설물로 인한 환경오염 및 기후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생기는 셈이다. 영국 캠브리지대학의 도날드 브룸 동물복지학 교수는 "가축을 훈련시킬 수 있다면 축산 폐기물을 더 수월하게 관리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FBN의 얀 랑바인 동물심리학자는 소 배설물의 80%가 헛간에서 수거될 경우 암모니아 배출량이 절반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소의 배설물은 온실가스 배출과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매튜스 박사에 따르면 한 마리의 소는 하루 약 8갤런(약 30L)의 소변을 배출한다. 소의 소변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는 기후위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토양으로 침출될시 미생물이 이를 아산화질소로 바꾼다. 아산화질소는 메탄, 이산화탄소에 이어 세 번째로 비중이 큰 온실가스다. 미국 환경보호국에 따르면, 2019년도 아산화질소는 미국 온실가스의 7%를 차지했다. 특히 농업은 암모니아 배출량이 가장 큰 분야로, 축산업이 농업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소의 배변훈련 시도는 이전부터 이뤄져왔으나 달리 성과가 없었다. 그러나 소의 배변 관련 신경생리학적 조절은 배설능력이 있는 여타 종과 유사하다. 또 어린 송아지들은 스스로 배뇨를 시작할 수 없다고 여겨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송아지도 훈련을 거치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랑바인 박사는 "소는 다른 많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매우 영리하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며 소들이 배변훈련을 못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현재 축산업자의 개입없이 송아지를 훈련시킬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중이다. 랑바인 박사는 "모든 훈련작업이 가능한 일종의 센서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미래에 소의 배변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며 "몇 년 내로 모든 소가 화장실에 가는 것"이 자신의 희망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 제거 신소재...AI로 찾았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을 제거하는 흡착 신소재를 인공지능(AI)로 찾는데 성공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와 한국화

[날씨] 낮에는 36℃ '가마솥 더위'...밤에는 '열대야' 기승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9∼21℃·최고 25∼29℃)보다 높겠고,

국내 화석연료 전력비중 사상 처음으로 50% 밑으로 '뚝'

태양광 발전에 힘입어 국내 화석연료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올 4

열돔이 갇힌 유럽과 미국...40℃ 넘는 '극한폭염' 덮쳤다

올여름 북반구 대부분의 나라들이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유럽의 낮기온은 40℃까지 치솟고 있고, 미국은 열흘 넘게 '열돔'에 갇혀있다. 우리

기후변화영향평가 제도 시행 3년..."사각지대 개선해야"

'기후변화영향평가'가 시행 3년차에 접어들지만 평가범위가 제한적이고 권고수준에 머무르면서 실효성이 없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에펠탑이 20cm 휘어진다고?...철구조물은 폭염에 약해

폭염으로 프랑스 파리의 상징물인 에펠탑이 약 20㎝가량 휘어질 수 있다.30일(현지시간) 일간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에펠탑은 철골 구조물로, 철강은 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