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물에 얽혀 죽어가는 새끼 혹등고래 포착..."어업장비 개선해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8 15:22:49
  • -
  • +
  • 인쇄
기후변화로 먹잇감 줄자 인간활동지역으로 접근
어부들이 고래 이동경로에 그물 설치하지 말아야
▲ 혹등고래 자료사진


한때 멸종위기에 처했다가 포획이 금지되면서 개체수가 서서히 불어났던 '혹등고래'가 최근들어 또다시 수난을 겪고 있다.

브라질 대서양 해안에서는 혹등고래 216마리가 기후변화로 먹잇감이 줄어들면서 죽음에 이른데 이어, 남극에서 낚시장비에 얽힌 새끼 혹등고래가 포착됐다. 이 광경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남극 반도 서쪽에 위치한 트리니티섬의 미켈슨 항구 인근에서 크리스탈 엔데버호에 탑승한 과학자들에 의해 목격됐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고래의 상태는 심각했다.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잘려나가 있었고, 꼬리에 감긴 낚시그물과 부표는 피부를 베어내고 찰과상을 입혔다. 대략 생후 18개월 전후의 어린 고래였다. 이 고래는 남미 해안을 따라 수천 킬로미터 이상 그물을 끌고 왔을 것으로 추정됐다.

고래를 옭아맨 그물은 제거하지 못했다. 이를 제거하려면 전문장비와 고도로 훈련된 팀이 필요한데 이는 작업자와 고래 모두에게 위험한 일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작업팀은 남극에서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이 여의치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끼고래가 헤엄치려고 안간힘을 쏟는 모습은 보는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그물에 얽혀 제대로 헤엄칠 수 없는 새끼고래의 생존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였다.

혹등고래는 기후변화로 먹이활동이 힘들어지자 점점 인간이 활동하는 지역까지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전문가나 과학자들은 해양 보호종들이 더이상 그물이나 낚시줄에 걸려들지 않도록 어업 장비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리 프리들랜더 산타크루즈대학 해양과학부 교수는 "앞으로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어업 장비를 개선해 줄이나 그물이 엉킬 가능성을 줄이면 이런 사고도 줄이고 조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먼 밀러 호주 해양보존협회 수산전문가는 "혹등고래가 이주하는 지역에 긴 헤드로프나 자망이 달린 어업 장비를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며 "혹등고래의 이동패턴과 시간은 규칙적이어서 어부들이 사전에 이를 숙지하고 고래 이동경로에 그물을 설치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사고를 훨씬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혹등고래는 몸길이가 19m까지 자라고 체중이 30∼40t에 이르는 대형 고래로 크릴새우와 동물성 플랑크톤 등을 주로 먹는다. 혹등고래는 1966년 멸종위기에 따라 포획이 금지될 당시에는 5000마리에 불과했지만, 현재 개체수는 8만마리 정도로 불어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英자산운용사, HLB에 2069억 투자…"신약허가 모멘텀 탄력 기대"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파트너스가 HLB그룹에 1억4500만달러(약 2069억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진행한다. HLB의 간암신약 재신청과 담관암 신약허가

인적분할 완료한 삼성바이오...'순수CDMO' 도약 발판 마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절차를 마치고, 본연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순수(Pure-play) CDMO'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3일 밝

[ESG;NOW] 재생에너지 12% 롯데칠성...목표달성 가능할까?

우리나라 대표 음료회사인 롯데칠성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2025년을 두달 남겨놓고 있는 현 시점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기후/환경

+

또 새벽에 '흔들'...아프간 규모 6.3 지진에 주택 '와르르'

9월과 10월에 세차례에 걸쳐 지진이 발생했던 아프가니스탄에서 11월 초부터 또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3일(현지시

中 '기후리더' 노리나?...'석탄 1.5억톤과 탄소 4억톤 감축' 깜짝 발표

중국이 향후 5년간 석탄 사용을 1억5000만톤 줄이고 이산화탄소 4억톤을 감축하겠다는 탄소절감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중국 신화통신과 차이나데일리

호주 야당 '2050 넷제로' 지지 철회…총선 앞두고 입장 뒤집기?

호주 보수 야당이 당론으로 채택했던 '2050 넷제로(Net-zero)' 목표를 공식 철회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수립한 '2050 넷제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철새들 월동지 '주남저수지' 11월 생태관광지로 선정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1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창원 주남저수지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한국의 습지는 시베리아․몽골고원 등의 대륙과 일본·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압축·이송설비 공사수주..."최소 1.9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카타르의 초대형 탄소 압축·이송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에너지LNG(QatarEnergy LNG)가 발

[날씨] 또 찾아온 '가을 한파'...강풍에 체감온도 '뚝'

'가을 한파'와 함께 11월 첫주를 맞이했다.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2일부터 찾아온 추위는 4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아침 기온이 5∼10℃가량 크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