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價 폭등' 화석연료 투자 기회? "수익·환경 모두 잃을 것"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7 16:10:38
  • -
  • +
  • 인쇄
7년만에 90달러 '돌파'...화석연료 신규투자 늘어
"공급초과로 637조원 손해, 기온상승 2°C 이하 억제도 미지수"

폭등하는 세계 원유가격 상승세에 편승해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경우 기후위기도 막지 못하고, 원금 회수도 못하는 최악의 '루즈-루즈(lose-lose) 시나리오'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후위기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영국의 금융전문가 기관 카본트래커(Carbon Tracker)는 27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세계 원유거래의 기준이 되는 대표 유종 브렌트유는 지난 26일 배럴당 90.02달러(약 10만8275원)를 기록했다. 2020년 4월 배럴당 20달러(약 2만4060원) 선에 머물던 브렌트유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된 경기로 천연가스 공급망이 경색되면서 대체재를 찾는 수요가 늘었고,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지정학적 긴장과 중동 지역 공급 우려 등의 요인이 작용하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이처럼 원유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신규 화석연료사업이 유리한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지만, 투자한 화석연료사업이 시작할 때 쯤이면 수요가 급격한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장기적으로 볼 때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각국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발빠르게 전기자동차와 재생에너지 사업 드라이브를 걸면서 2020년대 후반부터 2040년까지 원유 수요가 꾸준한 내리막에 접어든다는 것이다.

카본트래커는 205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8°C 이내로 억제가 가능한 수준의 화석연료 수요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지금과 같은 추세로 아무런 제약 없이 신규투자가 이루어질 경우 2022~2026년 수요와 공급이 맞아떨어지면서 단기적으로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2026년을 변곡점으로 2040년까지 심각한 공급초과가 발생하면서 기업들로 하여금 5300억달러(약 637조원) 규모의 '자본적지출'(CAPEX·Capital Expenditures) 손해를 안길 것으로 전망했다.


▲2022~2040년 원유 수요·공급 예상 그래프. 회색은 최종투자결정(FID) 사업으로 공급되는 원유량, 붉은색은 신규 사업, 실선은 기온상승폭 1.8°C 제한선에 맞춘 수요곡선이다. (자료=카본트래커)  


경제적 피해는 물론 환경적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신규 화석연료사업으로 더 많은 온실가스가 발생하면서 기온상승을 막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지구의 평균기온을 2°C 이하로 억제하지 못한다면 해수면이 7m 상승하면서 사용 가능한 물이 30% 감소하고, 북극생물의 40%가 멸종하는 등 인간과 생태계에 치명적이다. 보고서는 "신규 화석연료사업을 그대로 진행하게 되면 투자자와 환경운동가에게 악몽이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카본트래커는 이같은 파국을 막기 위해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유휴생산능력을 공격적으로 끌어올려 일일 원유생산량을 200만배럴 더 증산하도록 권고했다. OPEC이 일일 원유생산량을 200만배럴 더 추가할 경우 국제 원유가격은 80달러(약 9만6200원)선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향후 수년간 높은 원유가격으로 비롯한 투자수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파티 비롤(Fatih Birol)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지난주 "전세계적으로 미래 에너지 수요에 걸맞는 투자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각국 정부가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춰 미래 에너지 시장 위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저탄소 에너지원 대상 투자금액을 3배 이상 증액하도록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