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극심한 기후변화...'녹색정당' 지지율 끌어올렸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2-10 11:52:41
  • -
  • +
  • 인쇄
폭염과 가뭄 경험한 유럽인들 기후인식 높아져
개인소득 높고 젊을수록 기후문제 투표로 대응


기후변화에 대해 경험한 사람들이 친환경적 태도를 취하고 선거때 환경공약에 중심을 두는 녹색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오스트리아 락센부르크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 연구진은 기후변화 경험이 환경문제와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유럽의 기후데이터와 유럽 28개국 34개 지방정부의 선거데이터 등을 비교분석했더니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7일(현지시간)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 학술지에 발표했다. 

20년 전만 해도 대다수 유럽 사람들은 기후변화를 그리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유럽인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졌다.  2002년 환경문제가 국가의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는 데 동의한 유럽인들은 5%도 안됐는데, 2019년에 3배 이상 늘었다. 그러면서 2004년~2019년 사이 유럽의회의 녹색정당 의석 비율이 5.7%에서 9.9%로, 74%로 늘어났다.

이번 연구는 선거와 환경인식을 결합해 분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진은 2002~2019년 42차례에 걸쳐 34개국에서 진행된 유로바로미터(Eurobarometer) 시계열데이터와 1994~2019년 28개국에서 6차례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데이터를 이용해 투표 경향을 분석하고, 이 선거데이터와 기후데이터를 종합했다. 유로바로미터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실시하는 공동체에 대한 여론조사로, 유럽 연합 모든 회원국에서 실시된다.

통계분석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영향이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던 지난 20년동안 사람들의 환경문제 의식과 녹색정당 지지가 높아졌다. 특히 북유럽과 서유럽에서 이같은 추세가 두드러졌고, 동남부보다 북서부 지역의 녹색정당 지지 경향이 더 뚜렷했다.

실제로 지난 몇년간 유럽은 극심한 기후변화를 겪었다. 평균기온이 상승했고, 산불이 빈번했다. 지난해 여름 산불 발생건수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평균건수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뿐만 아니라 서유럽 국가 곳곳에서 수십 년간 전례없던 홍수가 발생해 큰 피해를 입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상기온과 폭염, 가뭄 등이 환경문제와 녹색정당 투표율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특정 이상기후 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할 경우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녹색정당 투표율이 각각 0.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영하의 기온이나 한파는 관심도나 지지도 변화에 영향이 없었다.

이같은 기후의 영향은 기온이 온화한 대서양 기후지역과 북유럽 및 중부유럽의 상대적으로 추운 대륙기후지역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남부유럽의 덥고 건조한 지중해 기후지역에서는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더운 지역 사람들은 이미 따뜻하고 건조한 조건에 적응했거나 기온변화에 익숙해졌기 때문에 이런 경향이 덜 두드러졌을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기후인식과 녹색정당 지지가 교육수준, 연령과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추가로 발견했다. 라야 무타라크 이탈리아 볼로냐대학의 인구학 교수는 "교육수준이 높고 연령대가 젊은 지역일수록 환경문제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투표로 기후문제에 강력하게 대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또한 연구진은 2007∼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로 환경문제에 대한 유럽의 관심이 크게 낮아진 것을 고려해, 경제 상황과의 상관관계도 조사했다. 지역 국내총생산(GDP)에 따른 차이를 조사한 분석에서는 기후경험에 따른 기후행동 지지의 증가는 오직 개인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를 겪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인식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기후소통과 교육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적 거리감을 줄인다면 기후행동을 장려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